책으로 만든 환경의 역습
박정훈 지음 / 김영사 / 2004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내는 이상하다. 꼭 **락스를 풀어 설거지 하기를 좋아한다. 빠독빠독 씻기겠지만, 나는 우선 냄새가 역겹다. 이렇게 독한 걸 쓰면 안 된다고 몇 번 얘기하지만 쉽게 고치려 들지 않는다. 냄새보다는 성능의 유혹을 물리치기 어려운 모양이다. **락스 냄새는 하루종일 집안 공기를 불쾌하게 만든다. 생각해 보면, 우리는 자연적인 냄새보다 인공적인 냄새에 길들여져 그 속에 살고 있다. 그런 냄새의 태반은 화학물질로 만들어진 것들이다.   

불량만두 사건이 온 나라를 시끄럽게 한 적이 있었다. 먹는 걸 가지고 장난치는 사람은 죽여야 한다고 할 정도로 사람들은 먹는 것에 대해서는 광적으로 흥분한다. 그러나 우리가 숨쉬는 공기가 불량 만두보다 훨씬 우리 몸에 좋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것에 대해서는 흥분하지 않는다. 개미를 잡기 위해 엄청난 양의 살충제를 뿌리고, 화장실이나 개수대 구멍을 뚫기 위해 독한 약품을 아무렇지도 않게 투여하는 현실에 모두들 입 다물고 있다. 

<환경의 역습>은 방송국 PD가 다큐멘터리로 제작하여 방영했던 내용을 책으로 엮었다. '새집증후군'과 '새학교증후군', '화학물질과민증' 등을 통해 실내공기와 중금속 오염 등에 대해 심각하게 얘기한다. 털어놓는 사례들 대부분 일본과 미국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화학물질과민증 환자가 일본이나 미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고, 새집이나 새학교가 그들 나라에서만 만들어지는 건 아닌데 우리나라는 그런 것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단계에 있다고 하니 안타까울 뿐이다. 

<환경의 역습>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화학물질의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새집을 짓는 데 사용되는 건축 자재, 자동차, 치과용 재료 등이 침묵의 살인자로 돌변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화학물질과민증은 '가면 쓴 질병(다른 질병으로 가장한 병)"으로 불린다. 새집증후군, 빌딩증후군, 새학교증후군 등을 오래 방치해 둘 경우 생겨나는 신종 질환이다. 건강한 사람은 별로 신경 쓰지 않아도 될 화학물질 냄새에도 심하게 반응하여 일상 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치과용 충전재로 쓰이는 아말감은 수은을 흡입하게 해 임산부가 정신지체아나 자폐증 아이를 출산한 위험이 있다. 이유없는 편두통도 아말감에 의한 것이라 의심할 수 있다. 이런 증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다. 그런 탓에 먹고 마시고 숨쉬며 생활하는 환경 속에 만성적인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이 숨어 있을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그렇다면 환경의 역습에 우리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 아토피나 화학물질과민증 같은 경우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은 깨끗한 공기를 쐬는 것이다. 완치는 불가능하고 철저한 자기관리로 병세가 호전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않는다. 자본주의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소비와 밀접하게 관계 맺고 있다. 과대한 소비욕구는 필연적으로 환경을 파괴하게 된다. 그렇다고 현 시스템에서 소비를 줄일 수도 없다. 그렇지만 소비를 하더라도 친환경적인 것을 소비한다면 지금 우리가 직면한 환경의 역습은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걸 선택하는 건 정부도 기업도 아닌 우리 소비자의 몫이다. 아이러니하게도 현명한 소비만이 환경을 살릴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깨어있는 사람들에 의한 행동이 필요한 시기이다. 분별없이 마구 화학물질을 배출하고 소비하는 반환경적 생활에서 벗어나야 한다. 크게 바꿀 수는 없어도 조금씩 내가 실천할 수 있는 행동부터 바꾸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에는 기필코 아내에게 설거지 할 때 **락스는 쓰지 말라고 부탁(?)할 참이다. 

 

나는 자연주의로 사는 것이 이런 것이라 생각한다. 가급적 인간이 만든 도구를 가하지 않고 태양과 땅과 비를 먹고 자란 음식을 자연 상태로 먹고 사는 것이 자연주의로 사는 기본을 실천하는 것이다.(2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