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이 강한 아이로 키워라 - 대한민국 부모 멘토 조선미 교수의 자녀교육 명강
조선미 지음 / 북하우스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의 행복은 스스로 판단하는것, 아이의 자율성을 인정하고 주도적으로 무언가를 력하는 가정 분위기

p.24


아프지만 견뎌내야 할 고통을 겪는 아이에게 나는 이렇게 말했다. " 고통스럽다는 건 네가 너 자신을 위해서 뭔가를 하고 있다는 증거야. 열심히 할 수록 고통은 더 커질 수 있어. 그런데 세상에 가치 있는 것 중에 고통없이 얻을 수 있는것은 없어"

p. 28


행복을 주는 삶의 조건 : 1)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 2) 적극적인 삶 3) 의미있는 사람

p.31


열정의 씨앗을 간직하고 싹튀우기 위해, 스스로 선택하고 그때의 즐거움을 경험하고, 선택한 활동이 존중받는다는것을 경험하고 스스로 가치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p.51


인지능력은 세상을 이해하게 해주는 도구이며, 정서는 사람들이 소통하게끔 해주는 매게이다.

p.73


균현감은 대부분의 관계는 신뢰와 수용을 기반으로 하되 적절한 불신을 경험하는것. 세상에 대한 긍정적 믿음과 더불어 불신에 대처하는 내구력을 키움

p.91


아이를 존중한다는것은 아이와 부모가 대등한 힘을 가지거나 의사결정할때 똑같은 표를 행사하는것이 아니다. 아이들은 규칙을 필요로 하고, 세상에는 하기 싫어도 해야 할 것이 있고, 하고 싶지만 참아야 하는 것이 있다는것을 배워야 한다.

p.95


아이를 존중한다는건 감정을 인정해주는것. 감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받은 아이가 자신감 있는 어른으로 성장한다.

p.95~96


차분한 설명 이전에 부모가 지혜와 권위를 갖고 이결정을 내린 것이라는 점을 알려야 한다.

p.100


부부가 언성을 높여 자기 주장만 하고, 고조된 갈등이 파국적으로 끝나는 장면을 자주 본 아이는 갈등을 무섭고 두려운 것, 관계를 파괴할 수 있는 것으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갈등이 생길 것 같으면 무조건 달려들어 뺏으려 하거나 관계에 대한 거절로 받아들여 지레 상심에 빠지고 관계에서 물러나게 된다.

p.124


자율성은 아이가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살수 있을 정도로 성숙했을때 비로소 발휘 할 수 있다. 아이나 청소년이 가질수 있는 자유와 자율적인 선택은 스스로 책일 질수 있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어야 한다.

p.128


부모는 아이를 위해 심장이라도 내놓을 만큼 사랑하지만 중요한 순간에 결정을 내리고 선택하는건 결국 아이 자신이다.

p.146


성장한다는 것은 점차 자신의 감정을 통제하고 스스로를 달래는데 있어서 다른 사람을 덜 필요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165


사람들이 본래 갖고 있는 성격이나 기질도 중요하지만 그 사람이 어떤 환경에서 살고 있으며, 어떤 방식으로 환경과 상호작용해왔는지가 큰 영향을 미친다.

p.187


힘을 가진 대상이 합리적이고, 개방적이며, 기꺼이 소통하려고 할떄는 눈치가 빛을 바하는 사회적 능력이 된다.

p.197


좋은 공부습관은 얼마나 어려운 내용을 얼마나 많이 하느냐에 달려 있는게 아니라 같은 행동을 지속적으로 반복할 수 있는지에 달려있다. 누가 시키지 않아도 알아서 공부하는 행동은 이런 반복과 훈련 끝에 만들어지는것이다.

p.218


실패하지 않고, 좌절하지 않고 성공하는 사람은 없다. 이 가시밭길에 나만 걸어가는게 아니라는 것. 성공은 그 누구에게도 충분한 대가를 요구한다는것. 상처를 스스로 치유하고 가다 보면 터널 끝에는 빛이 있다는것을 믿는 사람에게 세상은 가장 너그럽게 대한다

p.2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