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귀신 보는 추리 탐정, 콩 3 : 이상한 총각 귀신 귀신 보는 추리 탐정, 콩 3
전성현 지음, 한상언 그림 / 단비어린이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녀귀신 만큼은 아니지만 익숙히 들어왔고, “내 다리 내놔!”의 주인공은 아니지만 예전 귀신이야기에서 나올 때마다 더 무서웠던 총각 귀신이 콩을 찾아왔다. 그런데 이번 귀신은 좀 다르다.

사랑했던 사람을 찾아내 마음을 고백해야만 저승으로 떠날 수 있단다. 유난히 크고 환한 보름달이 뜬 밤에 찾아온 걸 보니, 누군지 모를 그 사람에 대한 사랑도 보름달만큼 크고 환했나 보다.

이제 콩은 혼자가 아니다. 무심한 척 콩의 비밀을 공유하며 보살피는 오홍 씨와, 이제는 일부러 콩이 도움을 요청하는 은비가 있다. 뭉칠수록 힘이 되고, 머리를 맞댈수록 수월한 귀신이 내는 문제 풀기.

콩과 은비는 둘만 지하철이나 버스를 타고 동네를 벗어나 조금 멀리 나가기도 한다. 처음 가는 길이니 더 조심스럽게, 하지만 조금 더 넓은 어른들의 세계를 아이들은 엿보게 된다. 콩과 은비의 세계도 조금씩 더 넓어진다.

이승을 떠나지 못하는 총각 귀신의 안타까운 사연, 그 사연 속 주인공이 머무는 장소도 예스럽고 정감 있다.

노잣돈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콩과 은비이지만, 총각 귀신의 사연을 풀어주는 일에는 진심이다. 아이들의 진심은 또 한 귀신의 원한을 풀고, 살아 있는 사람의 마음도 풀어줄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귀신 보는 추리 탐정, 콩 2 : 날 버리지 마! 귀신 보는 추리 탐정, 콩 2
김해우 지음, 한상언 그림 / 단비어린이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날 버리지 마!” 제목부터 구슬프다.

처음 찾아온 귀신 혁주의 사연을 훌륭하게 풀어낸 콩. 이번에는 뭐든지 먹어치우는 무시무시한 걸신이 콩을 찾아온다. 처음에는 냉장고를 뒤져 아이스크림, 고기를 먹더니 배고픔이 심해지자 먹어서는 안 될 것들까지 먹으려고 한다. 걸신을 저승으로 보내야 하는 콩까지 입맛을 다시며 쳐다보니 이건 정말 빨리 암호를 풀어야 할 것 같다.

그래도 친구와 함께, 그것도 암호 풀기를 좋아하는 은비와 함께 하니 콩은 이 기회가 어쩌면 더 좋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걸신이 내뱉는 말은 온전한 문장이 아니고, 아는 것은 없고, 이 위기를 콩은 어떻게 헤쳐 갈까?

제목을 봤을 때 떠오르는 요즘 세상 이야기들, 그 속에 콩이 풀어야 할 문제가 있다. 아이들이 풀도록 미뤄버린 무책임한 행동들. 그래도 세상의 때가 묻지 않은 과 은비라 더 쉽게 문제의 중심으로 들어갈 수 있었는지 모른다.

우리가 내뱉는 수많은 핑계들, 뒤를 보지 않고 저지르는 행동들, 책임지지 못할 이기심. 귀신 보는 추리 탐정, ‘이 귀신들을 저세상으로 보낼수록 마음이 조금씩 무거워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귀신 보는 추리 탐정, 콩 1 : 나에게 말해 줘! 귀신 보는 추리 탐정, 콩 1
임근희 지음, 한상언 그림 / 단비어린이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제목부터 아주 흥미롭다. 귀신 보는 추리 탐정. 1권의 시작은 콩이 벼락을 맞으면서 시작된다. 정신을 잃었다 병원에서 깨어난 콩은 자신의 몸이 이상하게 변해 있는 것도 놀라운데 검은 정장 차림에 선글라스를 쓴 두 명의 남자를 만난다. 여기서 사건이 시작되나 싶지만, 소년 귀신이 찾아오면서 이야기는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콩의 변화도 놀랍지만, 소년 귀신이 들고 오는 쪽지도 머리 아프다. 죽은 후 기억을 잃어버린 소년, 저승문을 통과하려면 콩이 암호처럼 보이는 문제를 풀어야만 한다. 소년 귀신에게 콩을 알려준 저 위의 분은 누구며, 소년은 어떤 사연의 죽음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암호처럼 보이는 추리를 여러 방법으로 풀어가는 콩과 함께 하다보면 금방 소년과 연결된 사람, 그리고 숨겨진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

눈물과 아쉬움, “그때 내가 이렇게 했더라면......”하고 우리가 살면서 겪는 반복되는 후회들. 너무 일찍 세상을 뜬 소년, 혁주를 통해 나는 또 무엇을 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학에 빠진 아이 마음별 그림책 11
미겔 탕코 지음, 김세실 옮김 / 나는별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우리)는 항상 습관적으로 무엇인가를 나누고 있습니다. 밖에서 입는 옷, 집에서 입는 옷, 연습장으로 쓸 이면지, 중요한 것만 적을 노트, 오늘 먹어야 할 과일, 손님 오시면 내놓을 과일 등등. 이건 계획적으로 낭비없이 살아가는 좋은 습관이라고 할 수 있지요. 하지만 이러한 습관이 너무 개인적인 부분까지 좌우하고 있지 않나 싶어요. 수학에 빠진 아이도 아직은 여기서 빠져나오지 못한 듯 보입니다.


  바닥에는 각종 자와 계산기를 놓고, 종이비행기를 날리며 행복해하는 아이. 이 빨간머리 소녀가 수학에 빠진 아이입니다.

 

  아빠가 열정적으로 좋아하는 그림그리기, 엄마가 푹 빠져 있는 곤충, 오빠가 푹 빠진 연주. 나도 뭔가 푹 빠질 만한 것을 찾아봅니다. 아빠, 엄마, 오빠가 하는 것 외에도 우리가 기본 학교수업처럼 생각하는 태권도, 미술, 방과후의 꽃 요리, 댄스, 노래 등등. 하지만 나한테 딱 맞는 건 없습니다. 

 

그러다 나는 내가 진짜진짜 좋아하는 것을 찾아냅니다. 바로 수학이지요. 수학에 빠지니 주변의 모든 것이 수학입니다. 도형으로 가득 찬 세상, 끼리끼리 모으는 것, 오래오래 생각해서 문제를 푸는 것. 나는 정말 즐겁습니다.

 

아이는 아마 느끼고 있나 봅니다. 사람들이 자기를 조금 다르게 본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수학을 좋아하는 내 열정을 이해하기 어려울 거라고 이야기하거든요.


  왜 우리는 취미와 학습을 따로 놓고 볼까요?  좋아하는 것을 찾아서 잘 하라고 하면서, 정말 좋아하는 것이 학습과 관련된 것이 아니면 그건 취미로 하라고 순위를 미뤄둡니다. 학습에 뛰어난 아이는 "얘는 다른 취미도 없어. 그냥 공부가 재밌대." 라며 자랑스러워하지요.

 

  <수학에 빠진 아이>는 우리를 이런 편견에서 벗어나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이야기를 풀어가는 방식은 조금 다릅니다. 우리가 익숙한 이야기 구조는, 취미로 해야 할 것을 잘 하는 아이가 학습은 부진한데 계속 노력하다 수학이 나에게 맞다는 것을 찾아내는 이야기일테지요. 하지만 미겔 탕코는 누구나 하나씩 가지라고 하는 취미가 아이에게는 너무 어려운 일이었다고 말합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이 우리가 흔히 얘기하는 취미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이상하게 보지 말라구요. 세상을 보는 방법은 이루 다 셀 수 없을 만큼 무한하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