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한다면 과학자처럼 - 일상의 오류가 보이기 시작하는 과학적 사고 습관
데이비드 헬펀드 지음, 노태복 옮김 / 더퀘스트 / 2017년 9월
평점 :
절판


「생각한다면 과학자처럼」
(데이비드 헬펀드 지음. 노태북 옮김. 더퀘스트)

통신기술이 발달하고, 인터넷과 SNS에 누구나 손쉽게 정보를 올리고 검색할 수 있게 되면서, 손쉽게 효율적으로 정보를 활용하는 우리의 생활은 풍요로울까? 정보가 범람하는 시대에, 정보를 판단하는 우리의 사고방식도 발맞추어 성장했을까? 정보의 양은 우리가 수용할 수 없을 만큼 방대해졌지만, 정보의 질이나 타당성을 제대로 판단하지도 못한 채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던 것은 아닐까? 이제는 일상에서도 자주 말하는 '팩트체크'를 하고 있었나? 혹은 기존에 갖고 있던 나의 생각을 덧입혀 합리화시키거나 배척하고 있던 것은 아닐까? 스스로 이런 질문을 하던 중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우리는 다양하고 방대한 정보 중에는 믿을 만한 것도 많지만, 정치적·경제적·사회적인 이득을 위해 조직된 '그릇된 정보'들도 많이 있음을 알고 있다. 이 책에서는 그러한 그릇된 정보들을 어떻게 스스로 필터링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책의 저자인 '데이비드 헬펀드' 교수는 '탈진실(post-truth)'로 대표되는 그릇된 정보가 넘치는 이 시대에 우리에게 한 가지 방법을 제시한다. 바로 '과학적 사고 습관'. 이러한 사고 습관을 갖기 위해서 우선 '왜(why)'와 같은 체계적이고 비판적인 호기심을 갖기를 권한다. 그리고 호기심을 사고능력과 결합시킨 '과학'이 무엇인지 이해를 돕고 있다. “과학은 단순히 지식의 집합이 아니다. 과학은 생각하는 방법이다.”라고 말하는 칼 세이건의 말은 저자의 ‘과학’에 대한 생각을 잘 반영하고 있다. 저자는 과학이 진리를 찾는 활동이라기보다는 ‘자연의 반증 가능한 모형을 찾기 위한 체계’라고 정의한다. 그리고 과학의 열 가지 속성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앤드루 리드 교수 인용).
1. 과학은 통한다.
2. 과학은 허튼소리를 뿌리 뽑는 데 대단히 효과적이다.
3. 과학은 반권위주의적이다.
4. 과학은 확실성을 내놓기 위해 애쓴다.
5. 과학적 과정은 어수선하다.
6. 모든 데이터가 평등하지는 않다.
7. 과학은 초자연을 설명할 수 있다.
8. 과학은 경이와 외경을 불러일으킨다.
9. 과학은 반직관적이다.
10. 과학은 우리를 개화시킨다.

이러한 속성을 바탕으로 7가지의 '과학적 사고 습관'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가 직접 겪은 일화와 사고습관이 적용된 사례들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계산식, 다양한 그래프, 확률과 통계 등 여러 가지의 과학적·수학적 개념까지 들어가며 사례를 설명하고 있다. 특히 10장에서 제시한 사례는‘지구온난화’에 새롭게 접근하고 우리가 잘못 인식하고 있는 부분을 바로 잡아주어 흥미로웠다. 우리가 주변 세계의 패턴을 살피고 설명을 구하는 것은, 우리의 뇌가 아무 의미가 없는데도 의미를 찾는 메커니즘을 탑재하고 있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이런 ‘패턴’은 환상이라 말하고 있는데, 이러한 생각은 기존의 사고 방식을 낯설게 보게 하여 의미있게 다가왔다. ‘상관관계와 인과관계를 혼동하면 곤란하다’고 짚어주어, 나 자신도 모르게 범하고 있던 큰 오류를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 실제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한 것은 좋지만, 다소 어려운 개념과 식을 보여주는 것은 읽는 이가 난해하여 지루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릇된 정보’를 포함한 정보들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주도적으로 평가하고 판단하는 사고 방식 중의 하나인 ‘과학적 사고 습관’을 제시한 것임을 상기한다면, 새로운 안목과 시선에 큰 의미를 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정보를 판단할 때 ‘과학적 사고’가 필요한 것에 동의한다. 그렇지만 더 폭넓게 세상을 읽는 다양한 관점을 고려해볼 때 복잡 미묘한 세상에 대해 ‘비과학적 시선’을 배척하는 것은 동의하기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