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둠 속에서 빛나는 생물들 - 우리가 몰랐던
조에 암스트롱 지음, 안자 수사니 그림, 이정모 옮김 / 찰리북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주에서 바라본 밤의 지구가 빛나고 있다. 대부분 도시와 거리를 밝히는 건물의 전등과 자동차들이 내는 빛이다. 인류는 그처럼 장치와 자원을 들여 어둠을 밝히지만 어떤 생물들은 스스로 빛을 낼 수가 있다. 그들에게 빛은 언어가 된다. 이 그림책에서 만나게 될 이야기는 인류가 밝혀내지 못한 미지의 세계, 빛을 내는 생물에 관한 것이다. 스스로 빛을 내는 발광 생물과 자외선을 활용해 빛을 만드는 형광 생물들을 여름이 가기 전에 만나보자.

반려견과 함께 밤 산책을 나온 세 아이가 어두워진 도시를 걸어가며 독자를 이야기 속으로 안내한다. 반려견이 반기는 건 가로등 아래 형광 분홍빛으로 빛나는 신세계날다람쥐. 이어지는 장면은 오스트레일리아 웨일스 해변이다. 여기는 바다 표면 바로 아래 사는 야광충 덕분에 밤의 모래와 물결이 파란 전등처럼 빛난다. 접촉하면 빛이 나는 야광충은 해군 함정을 위험에 빠트릴 수 있어 연구 중이란다. 다음은 미국 플로리다 먼 바닷속이다. 바다에는 깊이에 따라 태양광이 비치지 않는 심해까지 다양한 발광 생물들이 산다. 바다생물 4분의 3이 빛을 낸다는 사실에 놀랄 틈도 없이 뉴질랜드 지하동굴과 남아프리카 초원까지 빛을 내는 수많은 생물이 등장한다.

인류가 탐험한 바다는 아직 절반에 못 미친다고 한다. 생물들이 내는 빛은 여러 가지 의미로 읽히지만 왜, 어떤 원리에서 빛을 내게 되는지도 밝혀지지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바다에서 출발해 바다로 돌아와 마무리되며 마지막엔 인류와 바다의 미래에 관한 연구 상황을 첨부해 두었다. 이 책을 읽은 어린 독자들이 앞으로 꾸어야 할 꿈을 제안한 것이다.

빛은 인류에게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는 문장이 간결하다. 친절하고 부드러운 음색으로 설명하는 듯한 번역 글 덕에 지식 그림책이 주는 다소 경직된 느낌을 잊게 만든다. 다른 인쇄 기술을 적용하지 않았어도 빛을 발하듯 보이게 작업한 일러스트레이션은 책 전체를 빛나게 했다. 빛이 없을 때와 빛날 때를 대비해볼 수 있게 만든 앞뒤 면지도 책의 의미에 힘을 싣는다. 처음 이야기를 안내하던 아이들이 끝 장면에도 등장해 맨 앞 장면과 호응하듯 밤하늘을 올려다본다. 태양 빛에 반사되어 빛을 내는 달과 반짝이는 별들이 하늘을 가득 채웠다. 아이들 눈동자도 반짝이고 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썼습니다. 

우리는 특별하고 비밀스럽게 빛나는 생물들과 함께 지구에서 살아가지요.
앞으로도 이 생물들이 계속 빛날 수 있을지는 우리에게 달려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