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가족 문지아이들
하세가와 슈헤이 글.그림, 김영순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아이가 기억해낸 엄마의 휘파람 소리는 샹송 바다(La mer)’였다. 아빠 없이 단둘이 지나온 꽤 오랜 시간 속에서 아이에게 엄마는 자주 울었고 가끔 휘파람을 불었던 기억으로 남았다. 아빠 기억 속 선율은 딱 한 번, 결혼을 생각하진 않았어도 어쩌면 엄마에게는 진짜 사랑이 시작된 순간 불었던 휘파람이다. 다시 아들이 들려주는 휘파람은 아빠가 서 있는 일상의 배경을 바다로 가득 채운다. 슬픔이 바다 깊이로 울컥울컥 차오르는 경험과 엄마에 대한 기억의 시각화다. 줄곧 다른 곳만 보던 아들과 아빠는 같은 기억을 확인하는 순간 마침내 서로를 마주 본다.

엄마가 어떻게 되었다거나 그래서 아빠는 어떻게 하기로 했다거나 그동안 아이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다는 등의 설명은 없다. 다만 글과 그림의 서사로 자연스럽게 보여줄 뿐이다. 적당한 거리를 두고 함께 장을 보고 저녁을 준비하며 대화하는 동안 아들도 아빠도 격한 감정을 보이지 않는다. 무리할 필요 없다 말하는 아이는 성숙했고 엄마와의 일상을 모르는 아빠는 서툴고 혼란해도 당황하지 않는다. 차분한 그들의 대화가 더 쓸쓸하다. 한 시대가 가고 오는 상황을 커다랗고 커다란 배로 이미지화하는 설명 너머엔 분명 배를 감싸는 바다가 있다. 바다는 엄마다. 배를 보러 가자는 아빠의 말에는 바닷가를 걸으며 엄마를 추억하자는 뜻도 있었을 것이다. 부두에 도착한 아이는 엄청나게 커다란 배를 본다. 아빠와 아들 둘만 남은 일상이, 둘이 나아갈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고 있었다.

기본 삼원색만으로 가족 구성원 세 사람에 빗대어 채색했다. 가장 기본이 되는 원색들이 조금씩 다른 비율로 섞이면서 만들어지는 새로운 느낌을 표현하고 싶었단다. 어쩔 수 없이 부대끼며 살아가는 가족의 모습이란 그런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반영된 듯싶다. 의도를 들으니 아이와 아빠가 스며들어 만들어낼 이제껏 없던 색을 기대하게 된다. 사실 채색 방식과 커다랗고 커다란 배라는 원제목과는 사뭇 다른 면지 속 그림을 놓쳐서는 안 된다. 안개 속처럼 모노 톤으로 처리된 장면 속 작은 조각배를 타고 노 저어가는 부자의 모습이 진짜 현실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