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동이와 원더마우스 북극곰 꿈나무 그림책 21
조승혜 글.그림 / 북극곰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북극곰 출판사에서 출간된 그림책 가운데 가슴 뭉클하면서도 깊은 여운을 남기는 책들도 많지만, 아이들이 너무 재미있어 데굴데굴 웃게 만들면서도 교훈을 남겨주는 그림책들이 유난히 기억에 많이 남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그림책이 이렇게 재밌을 수 있다!'는 신세계를 보여 줌으로 "북극곰 출판사" 느낌 또한 신선한 듯합니다. 


 

 

2016년 11월에 초판이 인쇄된 "동동이와 원더마우스"는 "동동이와 원더마우스 1"이라고 표지 좌측 상단에 작은 글씨로 적혀 있는데 앞으로 쭈~욱 북극곰 출판사에서 시리즈로 출간될 예정인가 봐요. 

썬비치에 유유자적 선글라스를 끼고 누워서 주스를 마시는 오리라니!! 재밌는 설정이긴 하지만 아무래도 북극곰 친구들 미션으로 책을 받은 시기가 겨울에 가까워 오니 푸른 계열이 다소 추운 느낌도 들고 안에 내용과는 상충되는 느낌이 없잖아 드네요. 전반적으로 허전한 느낌이 들지 않게 '엉뚱한 오리'라는 면을 부각시키는 면에선 괜찮겠지만 내용과는 상이한 느낌은 보완해야 할 부분이 아닐까 싶은게 제 소견입니다^^;

 


 

이 책의 주인공 오리 이름이 왜 '동동이'일까요? 말만 유난히 많은 사람에게 종종 '물에 빠지면 입만 동동 뜨겠다.'라는 비난 어린 말을 할 때가 있죠그런 의미에서 속표지부터 보면 이 '동동이'란 주인공 성격이 짐작됩니다ㅎ

 

 

 

 

침대에 누워선 일어났다 하고 밥 먹으러 오라니 간다고만 하고 학교 가라 하니 가겠다고만 하고… 근데 이거 우리 집 안에서도 늘상 투닥거리게 되는 요소라 전~혀 낯설지 않네요ㅋㅋ

 

 

 

화장실로 달려가 혼자 씻고 닦는 입 겨우 붙들어 틀니 끼우듯 끼우고, 밥도 입이 먼저 먹으러 가고 물 마시고… 입이 달아날까 걱정하며 수업받고 앉아있는 동동이 너무 설정이 재밌어요ㅎ
심지어 축구도 입이 더 잘 한다고 친구들이 입을 칭찬(?!)하니 자존심 상한 동동이  "쳇, 내가 공만 차 봐라, 바르셀로나도 간다."라고 하는데요.

 

 

끈으로 묶고 잤는데도 불구 입은 집안 어디에도 없습니다. 말도 못 하고 밥도 못 먹는 동동이는 링거 맞다가 텔레비전에서 '바르셀로나 경기장에 나타난 오리입'이란 해외토픽 보고 자신의 입을 찾으러 떠납니다.

 

잔뜩 골난 동동이. "네가 달나라에 가 봐라! 내가 못 잡나…"
동동이 입이 옥토끼랑 같이 썬베드에 누워서 쉬고 있네요^^;;

'얘들아~ 동동이 입이 다음번에는 어디로 갈까?' 
동동이 입을 색종이로 오려 주고선 각자 상상해서 꾸며 보도록 했어요.

 

 

 

"동동이가 다음번에는 '아프리카 세렝게티 공원에 가서 밀림 속에 숨어 봐라! 내가 못 찾나!'라고 했어. 그래서 동동이 입이 밀림에 갔는데 맹수랑 동물들이 위협해서 무서워 숨어 있는 거야."
동물 사랑 지극한 아들은 역시 동물 이야기로ㅋ

 

아직은 능숙하게 표현이 안되는 다섯 살 딸래미는 중간중간 물어봤어요. 달처럼 꾸민 텔레비전 속에 동동이 입이 간 거고 옆에서 쉬던 토끼가 깜짝 놀라 다시 방송을 하는 모습이라네요. 엄마가 입을 너무 크게 만들어서 텔레비전 안에 토끼를 못 그렸다면서 급 원망을!ㅋ

 


"동동이와 원더마우스"는 아이들과 함께 보기에 정말 넘넘 재밌고 좋았습니다. 그런데 딱히 작가가 의도한 부분은 아닐지라도 그럴 듯한 말만 늘어놓고 실천하지 않는 사람들 모두에게 건네는 사회 풍자 요소도 담고 있는 것 같아요. 말만 앞세우는 모습들은 비단 아이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모습들이니까요.

자신은 스마트폰이나 드라마 중독된 상태에서 아이에겐 "스마트폰 그만하고 공부 좀 해!"가 씨알도 먹히지 않는 이유, 알코올에 대한 절제가 자신도 잘 안되면서 아이들에게 해로움을 강조하면서 '무조건 성인이 되고나서'란 전제를 다는 게 얼마나 위험요소를 떠안는지 진지하게 고민해 봐야 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  

특히나 요즘 인터넷과 텔레비전만 켜면 쏟아지는 뉴스로 더 많이 체감이 되고 개인적으로도 크고 작게 일어나는 아이 신변의 일들과 아울러 더더욱 많이 느껴지는 건 "삶으로 가르치는 것만 남는다"는 사실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