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주의자
한강 지음 / 창비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문학적인가보다. 나는 그런면에서 잘 모르겠다. 묘사나 공간표현은 잘 표현되어 있어 어렵지 않게 상황을 그리며 읽었다. 역시 맨부커?

영혜와 형부(핵심 인물들이다)를 이해하려고 열심히 생각을 하다가 잠시 안드로메다로 갔다가 다시 스토리에 몰입했다.

남자인 내가 볼때 형부는 단순히 수컷의 죄악이다. 처제의 엉덩이에 남아있는 몽고반점을 알게 되고 예술적 영감을 어쩌고 하는 평가를 보았는데 내 개인적으로 ×소리라 생각한다. 예술이라는 단어가 보통 사람들이 보기에 뭐 대단한게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 않나? 처제를 대상으로 점화된 욕망은 현실 불가능하다. 그러나 예술 행위는 욕망을 현실로 만들어 주는 장치일뿐. 안그래 남자들? 누드나 섹스를 소재로 하는 예술작품을 하는 많은 분들이 내 말에 펄쩍 뛰겠지만.

재미있게 읽고도 별 3개는 ! 세 사람의 관계설정과 몽고반점편의 과도한 클라이막스가 나에게 혼란을 주기 때문일 것이다. 필요한 장치였겠지만 더 담백해도 되지 않을까? 뭔가 큰 메시지가 있다고 생각하게 되고 그걸 찾으려고 애쓰면서 스토리를 잃어버리게 된다.
작가가 전달 하고자 하는 주제가 뭔지 찾으려고 노력하며 읽으면 진짜 재미없는 숙제가 된다. 카뮈의 이방인을 처음 읽었을 때 그랬다. 다시 읽고 여운이 남아 잠을 못잤던 기억이. . . 암튼 영혜도 언니도 한강작가 나이 혹은 위의 세대 한국 여자의 보편적 모습으로 보았다. 영혜가 채식이라는 특징이 나타나지 않으면 도대체 어떤 특징으로 인물을 살려낼 수 있을까? 어쩌면 작가는 집안의 딸(여자)로 태어나 집안의 남자들과는 다르게 살아올 수 밖에 없었던, 쉰 김치에 식은 밥에 계란 후라이 하나 없는 비빔밥을 최고의 저녁식사로 여긴 우리의 어머니들의 모습에서 채식이라는 소재를 발견한건 아닐지. . . 이 책을 읽게 해 준 맨부커상과 알라딘 사은품과작가에게 감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