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프티 피플 - 2017년 제50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정세랑 지음 / 창비 / 2016년 11월
평점 :
절판


함께 서점에서 일했던 분께 추천 받아 읽었던 정세랑 소설이다.

저번 달 부터 정세랑 작가의 ‘보건교사 안은영‘을 시작으로 신작인 ‘시선으로부터,‘ 그리고 50명이 펼치는 이색적인 스토리에 현혹되어 집어들게 된 ‘피프티 피플‘까지.
제법 머리에 남는 문장들이 많아 쉰 명의 사람들의 연결점들을 이어나가는데 큰 무리는 없었지만, 간혹 가다 알쏭달쏭 할 때는 목차를 참고해 앞 페이지를 뒤적여 가며 재미나게 읽었다.



열 여덟, 세상에게 깨져가고 또 좌절할수록 현실에 대한 자각을 위해 노력하고는 한다.
나조차도 무관심한 어른들과 그리 다를 것 없는 바보 같은 존재라는 사실을 잊지 않도록.

쏟아지는 뉴스들을 보며 오히려 피해자와 희생자들을 향해 날을 세우는 어른들을 볼 때,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불가피한 사고들을 마주하며 그저 유머를 가장한 조롱을 일삼는 또래 친구들을 볼 때,
그리고 그런 주변인들을 보며 아무 말 하지 못하는 나를 볼 때, 지금 당장 내게 닥친 일이 아니라는 이유만으로 멍하니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만 있을 때.
‘어쩔 수 없다‘라는 멕아리 없는 변명만을 늘어놓으며 외면해왔던 지난 날들에 대한 환기와 후회로 무거운 마음으로 읽어나간 소설이었다.



‘아무것도 놓이지 않은 낮고 넓은 테이블에, 조각 수가 많은 퍼즐을 쏟아두고 오래오래 맞추고 싶습니다‘ - 작가의 말 중

작가의 말의 첫 구절처럼 우리는 모두 긴밀하게 이어진, 사람을 통해 맞춰져가는, 잊혀져 가는 사람까지도 없어서는 안될 퍼즐 조각들 같다는 생각을 한다.
결국 이 세상을 구성해나가기 위해서는, 무쓸모해 보이는 이들 또한 모두 필요한 존재라는 사실을 일깨워 준다.
필요 없는 생명이 어디 있으며, 무의미한 존재가 어디 있겠나.



부모와 사소한 이야기를 나누더라도 세대 차이의 한계를 실감하고는 한다.
산업의학과를 나와 노동자들의 사업장을 돌아다니며 작업환경을 체크하고 임시 건강검진을 하는 방승화의 에피소드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

조선소에서 일어난 사망사고에 대해 조선소는 원래 그런 데라, 약한 소리 하지마라며 아들의 발언에 심기불편한 아버지를 보고

˝원래 그런 데가 어디 있어요? 사람이 죽어나가는 게 당연한 직업 같은 건 없어야 해요.˝
˝믹서기에 들어가기 싫어하는 건 나약한 게 아니에요.˝

라며 일침을 가하는 주인공이 새삼 멋있어 보이면서도, 어디에서 일을 하던 ‘죽을 각오‘를 해야 하는 이 사회가 너무나 기형적으로 느껴졌다.

주인공의 아버지와 같은 어른이 있는 반면, 자신이 ‘쉽게 늙었다‘며 자신의 한계와 세대의 한계와 가능성을 이야기 하는 슈크림 교수님과 같은 어른도 있다.

˝우리가 하는 일이 돌을 멀리 던지는 거라고 생각합시다. 어떻게든 한껏 멀리. 개개인은 착각을 하지요. 같은 위치에서 던지고 사람의 능력이란 고만고만하기 때문에 돌이 멀리 나가지 않는다고요.
그런데 사실은 같은 위치에서 던지고 있는 게 아닙니다. 시대란 게, 세대란 게 있기 때문입니다. 소 선생은 시작 선에서 던지고 있는 게 아니에요.
내 세대와 우리의 중간 세대가 던지고 던져서 그 돌이 떨어진 지점에서 다시 주워 던지고 있는 겁니다. 내 말 이해 합니까?˝



매 에피소드마다 사회의 가장 취약한 면들을 떠올리며 암울해지고는 했다.
순간 순간 세월호가 스쳤고, MB의 규제완화 정책으로 목숨을 잃어야 했던 지하철 노동자들이 스쳤고, 가습기 살균 피해자들의 모습이 스쳤다.


우리 사회 이면의 온상을 적나라하게 통찰해 녹여낸 이 소설은 한국인이라면 꼭 아파하고 슬퍼하며, 그러면서도 마음 따스해질 이야기들을 담고 있다.

"눈썹이 너랑 좀 닮은 것 같아."
"사람들이 다 그러더라? 눈썹 위로는 나랑 닮았대."

민희가 그 말을 듣고 좋아했다. 사실 눈썹 위로는 아무것도 없지 않나, 하면서도 의진은 재준의 이마를 골똘히 보았다. 가만 서 있으니 다시 버둥거렸다. 혼자 바닥을 돌아다니면서 노래를 부르는 태엽 도마뱀을 쫓아다니며 재준을 계속 흔들어주었다. 도마뱀이 부르는 동요는 뭉개져서 잘 들리지 않았다. 흥분해서 벌린 입안으로 보이는 재준의 이가 쌀알처럼 희고 가지런했다. 치열도 민희를 닮은것 같았다. 뭐, 아직 이 몇개로는 모를 일이지만 말이다.

"나중에 하나도 기억 못하겠지? 니가 자기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의진은 저도 모르게 그런 말을 했다. 우리가, 한사람 한사람이 기억하지 못하는 사랑의 기간들이 얼마나 길까. 갑자기 그런 생각을했더니 눈물이 조금 고였다. 의진답지 않았다. 민희가 보지 못하게등을 돌렸다.

"그래도 괜찮아. 기억하는 나이가 되면 더 좋아해줄 거야" - P141

"나한테 충고 같은 걸 바라는 건 아니지요?"

바라면 안되는 건가, 현재는 희미하게 웃었다.

"젊은 사람들은 착각을 해요. 노인들이 해답을 가지고 있다고 믿지. 별거 없어요. 나는 그냥 쉽게 늙었어요."

"다른 분들은 몰라도 선생님은 다르지 않나요?"

"아부 듣기 좋군요. 나는 충고 같은 거 하기 정말 싫어하지만 소선생이 원하는 것 같으니까 말해주는 거예요. 충고가 제일 싫어. 나는 자격도 없고, 그냥… 우리가 하는 일이 돌을 멀리 던지는 거라고 생각합시다. 어떻게든 한껏 멀리. 개개인은 착각을 하지요. 같은위치에서 던지고 사람의 능력이란 고만고만하기 때문에 돌이 멀리나가지 않는다고요. 그런데 사실은 같은 위치에서 던지고 있는 게아닙니다. 시대란 게, 세대란 게 있기 때문입니다. 소 선생은 시작선에서 던지고 있는 게 아니에요. 내 세대와 우리의 중간 세대가 던지고 던져서 그 돌이 떨어진 지점에서 다시 주워 던지고 있는 겁니다. 내 말 이해합니까?"

"릴레이 같은 거란 말씀이죠?"

"그겁니다. 여전히 훌륭한 학생이군요. 물론 자꾸 잊을 겁니다.
가끔 미친 자가 나타나 그 돌을 반대 방향으로 던지기도 하겠죠. 그럼 화가 날 거야. 하지만 조금만 멀리 떨어져서 조금만 긴 시간을가지고 볼 기회가 운 좋게 소 선생에게 주어진다면, 이를테면 40년쯤 후에 내 나이가 되어 돌아본다면 돌은 멀리 갔을 겁니다. 그리고 그 돌이 떨어진 풀 숲을 서 선생 다음 사람이 뒤저 다시 던질 겁니다. 소 선생 던질 수 없던 거리까지." - P38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