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난과 웃음의 나라 - 문화인류학자의 북한 이야기
정병호 지음 / 창비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장 ‘행복을 교시하는 나라’ 에 이런 문장이 있다.
“행복은 지극히 주관적인 것이며 소유보다는 경험, 경쟁보다는 관계가 중요하다.”

미디어에서 바라보는 북한은, 가난과 고난에 가득찬 모습 뿐이다. 하지만 부유함이 행복의 척도가 아닌 것처럼 북한 사람들이 추구하는 삶을 우리의 시선에서 ‘불행하다’라고 단정짓는 건 섣부른 생각이었다. 북한의 평등주의와 장군님을 중심으로 한 국가적 가족관계가, 그들에게는 물질적 궁핍을 이겨낼 행복의 원천이다.

___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남한 사회에서도 공식적으로 인정되는 문장이다. 그치만,
입시결과를 토대로 교육을 통한 계층구조가 유지되는 건 공공연한 일이고, 따라서 교육열도 심화되었다.

정말 모든 직업이 평등해, ‘교수 아들은 교수로, 농부 아들은 농부로’ 가 가능한 북한 사회가 굉장히 신기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불평등이라고 칭해질 일이, 어느 국가에서는 평등하기 때문에 가능하다는 것.

___

흔히 첫인상에서 나온 판단은 틀리지 않는다고들 한다. 그러나, 모든 사람에게는 여러 단면이 존재한다. 극히 일부로 무언가를 규정짓는 게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책을 읽은 후 북한에 대한 나의 생각 변화를 통해 깨달았다. 더불어 진정한 ‘행복’ ‘평등’ ‘자유’ 의 가치를 자본주의의 관점에서만 바라볼 수는 없다는 걸, 우리가 무조건 정답이 아니라는 걸 느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