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제 선생님이야! - 1등급, 수학 공부의 시작 무슨 말이 더 필요해!
정승제 지음 / 이지퍼블리싱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슨말이더필요해 #정승제선생님이야
#이지퍼블리싱 @izipublishing
⠀⠀⠀
"포기를 부르는 들쑥날쑥한 점수
물과 불을 오가는 예측불허의 수능
급격한 온도차에도 끄떡없는 수학 공부법"
⠀⠀⠀
수학이란 과목은 다른 과목들에 비해 수포자가 많은것같다. (수.포.자=수학을 포기한 사람) 나 역시 현재 수학선생님으로 올해 29살이니까 딱 10년째 일하고 있는데 그동안 지켜보면 학생들이 공부를 해도 자신이없고 어렵고 싫고 공식을 알아도 문제에 대입을 하지 못하기때문이라고 생각이든다. 사실 수학을 못해도 세상 사는데 큰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나 역시 고3까지 이과이면서 내가 수학을 왜 해야하지 생각은 100번넘게 한거같다. 또 고3쯤 되면 이과생은 한번쯤 생각해봤을뻔한 수학공부하다가 수리가에서 수리나로 변경해야하나 진지하게 고민도하고 포기하려고도 했던 과목이였다. 이랬던 내가 수학선생님을 하고있다는게 되돌아보니 웃프다. 수학을 좋아하지않고 싫어했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올해 생물교육과로 들어가면서 생물보다 딱 답이 떨어지고 정확한 답이 있는 수학이 더 좋다는 생각을 여러번 하게된다. 어쩌면 나는 틀에 늘 박혀있고 그 틀을 벗어나면 회로가 멈추는 성격때문일지도 모르겠지만... 주변에 수학선생님을 보면 딱 수학이 자리잡혀있으신 모습이 정말 멋있어보였다. 또한 정승제 선생님이란 분을 이번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는데 난 왜 고등학교 3년내내 몰랐을까😢 내가 수능공부할때 이런 분이 나타났으면 나도 어쩜 수학에 고딩때 흥미를 가지고 재밌게 공부하지않았을까?
⠀⠀⠀
정승제선생님께서는 수학공부를 조금 더 다가가기 쉽게 학생들이 이해하기 편하도록 책을 쓰신거같다.
프롤로그. 아무도 믿지 않았던 진실, 9등급도 1등급이 될 수 있다!
1장. 네가 수학을 못하는 이유
2장. 마인드를 바꾸면 점수가 달라진다
3장. 수학 공부의 기술
⠀⠀⠀
✏수학을 미로같다고들 해. 만약 네가 앞으로 나아가려고 하면 벽이 가로막고, 방향을 틀면 또 벽이 있다고 상상해봐. 아주 답답할거야. 그런데 수학을 공부하면서 수에 대한 개념이 잡혀있지 않으면 공부를 해도 계속 막히게 돼. 막힐때마다 절망감이 들고 마치 미로에 갇힌 느낌이 들겠지. 그렇다고 벽과 마주칠때마다 피해가거나 그 상황을 넘길 방법만 찾으면 절대로 앞으로 나아갈 수 가 없어. (p.20)
⠀⠀⠀
✏진짜 중요한건 많이 푸는 것 보다 제대로 아는거야.
양보다는 질! 이 말이 딱 맞아. (p.54)
⠀⠀⠀
✏공식은 생각의 과정을 줄여주는 도구일뿐, 문제를 풀게하는 유일한 방법이 아니다. (p.144)
⠀⠀⠀
✏공부해서 대학가기로 마음 먹었다면, 수능에 승부를 걸어볼 생각을 했다면, 이왕 시작한 경쟁에서 승자가되자. 추운 겨울을 이겨내야 봄에 새싹이 돋아나. 오랜 시간 수험생활을 하다보면 누구나 슬럼프를 만나고, 포기하고 싶어지기도 해. 며칠동안 끙끙 앓게되더라도 다시 마음을 추스리고 일어나자. 처음 가졌던 그 마음가짐을 수능 날까지 끌고 가는 사람만이, 끝까지 완주하는 사람만이 1등급을 만들고, 만점을 만들 수 있어. (p.179)
⠀⠀⠀
✏착각하지말자. 어떤 인강 선생님도 너의 성적을 올려줄 수 없어. 성적을 올릴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너 뿐이다. (p.260)
⠀⠀⠀ ⠀⠀⠀
꽉 막힌 고구마 같은 수학 점수를 시원하게 올려줄 단 하나의 수학 개념서라는데, 구성도 괜찮다고 생각이 들었다. 딱딱한 글도 아니라 가독성도 좋았고 독자들 층을 잘 맞춘거 같았다. 무엇보다 딱 중고등학생들에게 수학개념 설명이 아닌 어떻게하면 수학을 포기하지 않게될지, 막막하고 전혀 수학개념을 모르는데 어디부터 수학 손을 데야할지 모를때 너무 기본베이스가 없어서 막막할때 (10강정도였나 10시간정도였나 책도 인강 구매안해도! 돈이 들지 않는 방법은 책에 초반에 나와있던 걸로 기억한당) 이 책 읽으면서 나까지 지금 내 방향에도 도움이 되었고, 수학선생님으로도 생물선생님으로써도 또 학생입장으로도 많은걸 배우게되었다. 책 읽으면서 다시 느낀 주관적인 생각이지만 아무래도 제일 좋은 학습인지는 병렬적학습이 좋은거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