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아메리카나 1~2 - 전2권 - 개정판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특정 사회에서 개인들은 보통 한 두가지의 차별을 당연히 겪고 살기 마련이다. 인종 사다리의 가장 꼭대기에 있다는 백인 남성의 경우에는 삶이 그다지 어렵지 않을지 모른다. 백인 여성의 경우는 다른 것을 차치하고서라도 여성이라는 이유로 백인 남성의 한 사다리의 아래에 있다. 흑인이나 히스패닉, 아시아인이라면 어떨까? 아마도 그들은 여남 불문 백인보다는 아래에, 그러나 흑인, 히스패닉, 아시아 여성들보다는 상위에 있을 것이다. 물론 계급과 각자가 가진 위치성에 따라 이 사다리의 높낮이는 이동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차별은 단일 국가, 인종, 계급, 성별과 같이 한 세계에만 속해 있을 때는 알 수 없는 경우가 많다. 그 경계를 인지하거나 넘는, 즉 다른 세계 속으로 진입하는 순간 주류는 알 수 없는 것들을 선연히 보고 느끼고 경험할 가능성이 커진다. 약 800페이지에 달하는, 두 권으로 쓰인 이 책 <아메리카나>는 아프리카 대륙의 나이지리아의 하층민 계급에 속한 흑인 여성 이페멜루가 미국에서 겪은 일들에 관한 이야기다. 흑인으로서, 하층민으로서, 여성으로서 3중의 차별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이페멜루의 미국 이야기.

내겐 아디치에의 소설은 <보라색 히비스커스>에 이어 <아메리카나>가 두 번째였다. 미국 이민 초기에 작가의 삶이 불안정하고 불안했던 시기에 쓰였던 <보라색 히비스커스>에 비하면 <아메리카나>는 그가 미국생활에 어느정도 적응하여 생활이 안정되던 시기, 그러니까 자신이 경계에 서 있는 자로서의 위치를 파악하고 어느 정도 거리를 두고 판단하고 관찰할 수 있게 된 시기에 쓰여졌다. 그래서인지 소설은 전작보다 밝고, 유머스럽고, 동시에 더욱 신랄하고 비판적으로 느껴진다.

이 책은 어쩌면 아디치에가 아니라면,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미국에 이민 온 흑인 여성이 아니었더라면 쓰지 못할 책이었을지도 모른다. 다양한 인종들이 섞여 사는 미국이라는 나라, 다양성 자체가 미국적 가치로 여겨지는 나라, 그러나 흑인 노예 제도가 분명히 존재했고 이 제도의 존폐를 두고 남북이 전쟁을 해야했던 미국이라는 나라에서 인종 문제를 이야기한다는 것은 또 어떤 의미일까. 오히려 이 사실 때문에 인종차별은 더 이상 미국에서 용납되지 않고, 모두를 불편하기 만들기에 오히려 침묵하고, 이제는 인종차별은 범죄라고 법률이 선포한 이 나라에서 또또또! 인종, 여성, 차별을 이야기한다는 것의 의미는 무엇인가?

미국 사회는 더 이상 인종 차별을 용납할 수 없다는 사회적 합의를 거두었다. 그러나 여전히 차별은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혹은 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언어로 포장되어 사람들이 자신이 이성적으로 행동하는(그러나 실제로는 차별의 단면인) 방식으로 존재하게 된 듯하다. 아디치에는 이런 미묘하고도 애매한 차별의 순간들을 재치있게 폭로한다.

백인 남자친구 커트가 이페멜루가 보는 흑인여성만 나오는 잡지를 인종편향적이라고 하자 이페멜루가 백인여성만 나오는 잡지를 보여주며 이건 왜 편향적이라고 하지 않느냐고, 애초에 흑인여성만 나오는 잡지가 왜 필요한지는 아냐고 묻는 장면, 흑인을 아름다움과 연결짓고 아프리카를 자연과 신의 존재로 연상시키는 오리엔탈리즘적인 사고를 가진 백인들을 보며 언제나 특수성은 보편성의 반동에서 나온 것이며 늘 그것이 온갖 치창된 형용사와 부사를 달고 다닌다는 사실, 대학 강의에서 함께 본 영화에서 깜둥이라는 말이 모자이크 처리되어 나오는 것에 대해 그 말이 실제로 역사에서 쓰였기에 현실을 드러내는 수사로서 감춰서는 안 된다는 의견과 그 단어가 흑인들에게 상처를 주니 써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대립하는 장면, 어떤 흑인이 자신이 차별을 당했을때 인종때문이라고 생각하는 상황에 대해 다른 이들이 인종때문만이 아니라고, 더 복잡한 상황 때문이라고 말하며 차별피해를 희석할때 사실은 그 복잡한 상황이라고 말하는 태도가 더 단순한 해석이 아니냐고 반박하는 장면, 미국 사회에서 이제 흑인이 아니라면 아이비리그에 들어가기도 힘들다고 말하며 역차별을 강조하는 백인들의 말, 이페멜루 자신은 백인 남친과의 관계에서 인종적 차별이나 성적 억압을 받은적이 있냐는 질문을 받자 차별은 두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이기도 하지만 사회적 차원의 일이라고 반박한 그의 말, 흑인 인권 운동이 아니라 이제는 인류 전체를 위한 휴머니즘이 되어야 되는 것이 아니냐고 말하는 사람들의 아주 휴머니즘적인(결국 그들이 말하는 휴머니즘의 대표는 백인?)주장에 대해 다양한 에피소드를 통해서 이야기한다.

이 에피소드들이 주는 불편한 늬앙스와 애매모호함 속에 가려진, 이제 차별은 없다고 믿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언어의 위선을 아디치에는 신랄하게 까발린다. <아메리카나>는 완벽하고 아름답게 포장된 미국 사회의 보이지 않는 균열을 보여준다. 흑인에 대해, 흑인 내부에서도 아프리카계 미국인과 아프리카인들의 차이에 관해(우리에게는 보이지 않는, 예를 들어 미국에서 한국인, 중국인, 일본인이 모두 중국인 혹은 아시아인으로 여겨지는 것과 같은 것), 흑인이자 여성에 관해, 미국에 굴복되어진 미국에 관한 아디치에의 재치있는 항변같은 책이 바로 <아메리카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