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하우에서 온 편지
앤 부스 지음, 김선영 옮김 / 책담 / 201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누구나 평등하다. 그러나 세계는 그런 인간들의 세상은 이상적일 뿐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듯 피라미드의 위계질서 속에 우리를 위치시킨다. 그 어디에 속하든 간에 우리는 자신이 위치한 곳보다 더 높은 곳에서 내려오는 지시가 언제나 진실이며 그것이 마치 모든 것인냥 의지와는 상관없이 흘러가게 만든다. 달리 세뇌교육이 있는 게 아니다. 그저 그렇게 배웠고 처음부터 그런 세상에 존재한다고 믿고 그 주류에 휩쓸려 살아가는 것이 편하다고 생각할 뿐이다. 반대로 자유로운 행동을 하거나 자기 의지를 피력하는 나와는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들은 오히려 부담스러운 존재로 비춰지기 마련이다. 다수의 의견 속에 소수의 의견이 묵살되는 순간이 오는 것이다.


예전 광고에서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모두가 예스라고 할 때 '노우'라고 말하는 용기!!

우리는 그런 용기를 갖기 위해 무엇을 해야할까,,,


올바른 역사의식은 인간의 가치관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외부의 시선에 휩쓸리지 않고 꿋꿋이 소신을 지켜나가는 것이다. 일본이 우리에게 행사한 무력을 통해 수많은 한국인들이 그들의 강제노동과 성적 착취에 희생되었다. 물론 오늘날에 와서 소수의 일본인들에 의해 그들의 잔악무도한 행동에 대한 사과를 하고는 있지만 아직도 다수의 일본인들은 그들이 무엇을 잘못했는 지, 왜 사과해야하는 지에 조차도 모르고 있다. 그러나 독일인들은 깊은 반성과 함께 권력자들이 참회하는 모습을 진심을 담아 표현하려고 노력한다. (물론 걔중에는 아직 정신 못 차린 인간들도 많지만)


'다하우에서 온 편지'는 그런 역사에 대해 제대로 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잔잔한 문체로 써내려간 소설이다. 아이들의 시선에서 어떻게 하면 자연스럽게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는 지 보여주는 책인듯 싶어 오랜만에 기분 좋은 책을 읽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다른 나라 특히 큰 테두리로만 알지 독일의 전후사정을 자세히 모르는 이들도 자연스럽게 알게 만들어주기 때문에 더 고마운 책이라는 생각이다.

이 이야기는 독일이라는 곳에서 벌어진 이야기가 아니다. 영국의 어느 마을에서 제시라는 소녀가 독일에서 날아온 엽서 한 장을 토대로 자신이 몰랐던 할머니의 과거를 알게되는 과정을 그려낸다. 또한 그녀와 함께 등장인물들이 겪게되는 혼란을 통해 어떻게 과거를 받아들이게 되며 또 앞으로 어떻게 과거를 인식하고 미래를 살아나가야하는 지에 대해 풀어놓은 이야기이다. 제시의 할머니 엘리자베스, 프랑스로 일하러 떠난 제시의 아빠, 하얀셰퍼드 견 스노이, JM이라는 알파벳, 단추, 제시의 사촌 프란체스카의 행동, 할머니의 하얀 장미, 독일어를 가르치는 독일인 본 회퍼 선생님, 다운증후군 닐 아저씨, 장애인이자 제시의 친구인 케이트, 친구 벤의 외할머니 미리암 레비 그리고 동화 쓰기 과제 등의 다양한 소재를 통해 이야기를 펼쳐나가고 있다.


독일은 자신들의 과거를 수치스럽게 생각함과 동시에 후대 사람들이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기록과, 장소를 통해 많이 남겨놓고 있으며 아이들이 또 다시 그런 일을 겪지 않도록 다양한 장르에서 역사에 대한 인식을 심어주고 있다. 저자 역시 그런 생각에 동참한 듯하다. 중간중간 저자가 힌트를 넣어두었듯이 곳곳에 알게 모르게 다양한 장치들이 숨어 있는데 읽고 나서야 그런 일이 있었구나 하며 다시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한 가지 더 관심있게 읽은 내용으로는 주인공 아이의 시선으로 옮겨낸 오늘날 우리가 겪고 있는 다른 민족에 대한 생각이다. 장애자에게, 다른 나라에서 온 노동자에게 가지는 아이의 시선이 꼭 우리 어른을 닮아 있다. 단일민족이라는 국가를 늘 자랑삼아 왔던 대한민국은 이제 다민족 국가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들이 우리와 함께 섞여 살아감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아직도 그들을 이방인 취급하고 심지어 더럽다고 우리와 같은 부류가 아니라고 치부하기까지 한다. 일본인들이 우리나라 사람들을 '조센징'이라 욕할 때는 너도나도 앞장서서 나쁜 놈들이라 하면서 우리나라에 들어와 사는 타민족 국가 사람들에겐 '너희나라로 돌아가라'며 매도한다. 히틀러가 그렇게도 순수혈통을 찾고자 했던 것과 지금 우리가 하는 행동들이 뭐가 다른건지.. 과연 순수 혈통이라는 게 존재할 수 있기는 한건가?

나보다 약하다고, 나보다 못난 사람이라 치부하고, 나는 안하면서 다른 이에게 일자리를 빼았겼다고 생각하는 우리들!!! 그런 우리를 보고 자라나는 아이들은 자신의 어떤 행동이 약한 자를 괴롭히는 것인지 모르면서 무의식적으로 타인을 공격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 스스로 생각해본다. 나는 과연 다른 약한 자를, 다른 누군가를 쉽게 생각하지는 않았는지.....


인간이 세대를 거쳐가며 꼭 배워야 할 게 있다면 그건 바로 역사의식이라 감히 말하고 싶다. 

그런 의미에서 '다하우에서 온 편지'는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어떻게 역사를 인식하고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