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국왕 연산군 - 88편의 시로 살피는 미친 사랑의 노래
이수광 지음 / 책문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로 쓴 역사... 그 끝에는 항상 왕들이 있다.. 그리고 궁중의 암투....

역사의 기록대로 연산군은 폭군이다. 그의 모든 것들이 낱낱이 기록되어 있는 실록.. 그 이 외에도 야사를 통해 얼마나 많이 연산군이 폭정과 난잡한 사생활을 일삼았는지는 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TV드라마나 영화의 주제로 가장 많이 다뤄지고 있는 임금이지만 그에게 군이라는 시호가 붙은 것은 왕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도가 숨어 있다. 광해군, 연산군..... 모두 반정에 의해 집권을 잃은 군왕들이다. 한 사람은 너무 똑똑해서, 또 한 사람은 너무 오만방자하고 난폭한 정치를 하였기에..

조선국왕 연산군은 책에 나오는대로 시를 좋아하고 시를 많이 지었던 왕이라 한다. 그가 남긴 시 중 88편을 책 소설 곳곳에 담아 책의 내용을 이어가고 있다. 어떻게 시를 지었고 어떤 시기에 시를 지었는지도 세세히 기록하고 있어 글 읽는 재미도 더해준다.
또한 책의 구성 역시 역사 순대로 쓰여있지 않고 연산군의 젊은 시절 폭정과 향락에 빠진 시기부터 시작해 다시 폐비 윤씨의 일과 그의 어린시절 이야기에서 다시 반정이 일어나기까지의 일을 그리고 있어 시대를 왔다갔다하며 보는 재미가 있다.

금삼의 피.....
연산군의 어미인 폐비 윤씨가 사약을 마시며 흘린 혈흔이 담긴 옷을 말한다. 폐비 윤씨 조선의 9대왕인 성종의 둘째부인으로 두 명의 아들을 두었으나 윤씨가 죽은 다음 둘째 아들은 단명하였고 첫째 아들이 성종의 대를 이어 왕이 되었으니 그 이름이 연산군이다. 연산군은 어린 시절 어머니의 사랑을 받지 못하고 자랐다. 어미의 사랑을 한참 받아야할 나이에 윤씨는 사가로 내쫓아졌고 그 뒤 사약을 받고 죽었으니 말이다. 성종은 이 일과 관련된 모든 것들을 자신이 죽어서도 그가 알지 못하게 막는다.
그러나, 소문이든 사실이든 아니든 막는다고 어디 막아지는가. 발없는 말이 천리를 가듯 순식간에 알게 되는 것이 말이거늘.... 폐비 윤씨가 사가로 내쳐져 가난하게 살다 사약을 받게 된 계기는 실록이나 야사를 통해 알고 있듯이 궁중의 암투 속에서 성종의 후궁들에게 질투를 한 뒤 부부싸움 중 용안에 상처를 내었기 때문이란다. 지금이야 부부의 일이니 두 부부가 뭘 하든 우리야 알바 아니지만 부부싸움 중 얼굴에 상처를 냈다기로서니 폐비까지 시킨 일은 참 어처구니가 없다. 그 중에서도 시어머니인 인수대비와의 고부갈등이 극에 달했기 때문에 효성이 극진했던 성종도 어쩔 수 없었다고 하지만 이 책에 담긴 내용을 들여다보자면 성종의 이랬다 저랬다 하는 마음이 참 마마보이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가 왕이라 하나 총애를 받으려고 투기와 질투가 난무하는 궁중 안에서 왕비라 한들 질투가 없겠나 싶기도 한 게 측은하기까지 하다. 거기다 오죽 궁중암투가 심했으면 소혜왕후인 인수대비가 <內訓내훈>이라는 책까지 썼겠는가. 어쨌든. 그녀의 사건은 연산군이 왕위에 올라 이 일에 관해 알게 되면서 무오사화갑자사화를 일으키게 되는 도화선이 되었고 아들에 의해 제헌왕후로 추대되었지만 중종반정으로 왕후의 호가 다시 삭탈되는 운명을 가진다. 서글프고도 부끄러운 역사이다....
다시 책으로 돌아가, 그가 이렇게 미치게 된 계기가 물론 어머니의 일도 있었지만 그 이전부터 이미 시작되었다고 한다. 연산군의 성정이 어릴 때부터 놀기 좋아하고 공부하고 책보는 걸 싫어했다. 거기다 성격도 잔인한 면이 있었나보다. 한 예로 저자는 연산군의 성품을 기록한 <오산설림>이라는 책의 내용을 들었는데,  성종이 아끼던 사슴 한마리가 있었단다. 어느날 연산군과 함께 이 사슴을 같이 놀게 되었는데 사슴이 연산군을 핥았다고 한다. 그랬더니 연산군이 사슴을 발로 찼고 성종이 어찌 그리 잔인하냐고 했단다. 후일 성종이 죽자 연산이 이 사슴을 죽였다고 적고 있다. 
처음에는  그도 다른 왕들과 비슷하게 정사를 이끌어 나갔다고 한다. 그러나 당파 싸움의 시작이 어찌보면 연산군의 잔인함을 불러낸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우리나라의 정치가 그렇듯 그 시대에도 사림과 훈구파의 세력이 워낙 드세었나보다. 그들의 기를 누르기 위해선 왕권을 강화하는 수 밖에 없었다. 성종과 달리 연산군은 즉위 초부터 사림파의 기세를 꺽으려고 하였고 계속해서 왕권에 도전하듯 훈수를 두는 그들이 눈엣가시였을 것이다. 처음에는 훈구파를 이용해 사림을 몰아냈고 그 뒤에는 다시 훈구파를 누르며 왕권을 강화하기 시작한다.

왕권의 강화가 시작되면 당연 추종하는 세력이 등장하게 마련이다. 바로 최근에 등장한 영화 '간신'의 주인공인 임숭재 그리고 그의 아버지 임사홍이 있다. 바로 그들이 연산군을 폭군과 난잡한 생활을 하게 만든 주축들이다. 왕권 강화를 통해 역사가 올바르게 잡혔더라면 좋았겠지만 모든 것을 가질 수 있는  왕의 자리에 올랐으니 자기 마음대로 해도 되는 삶이라 생각했는지도 모른다. 하늘 아래 자기보다 위인 사람은 없었으니 말이다. 간신들은 연산군의 마음에 들기 위해 전국팔도에서 양반부터 노비까지 다양한 미인들을 왕에게 바쳤다. 심지어 연산은 자신의 마음에 들면 숙부의 부인도 취했고 지나가다 마음에 들면 아무나 상대했으며 의붓동생인 혜신옹주까지도 노리개로 삼았다. 간신 중의 간신인 임숭재의 부인이 바로 그녀인데 임숭재는 자신의 욕심을 위해 자신의 부인까지도 갖다 바치며 충성을 다했다. 서평이라 욕은 할 수 없지만 참 대단한 작자들임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들의 운명 역시도 어쩔 수 없나보다. 임숭재는 젊어서 요절했고 임사홍은 연산군이 폐주가 되면서 죽임을 당했다.
또 그의 총애를 입은 장녹수와 전비같은 여인들도 빠질 수 없다. 장녹수는 연산군에게 가장 많은 총애를 입은 여인이다. 그녀로 인해 연산군은 헤아릴 수 없이 나쁜 짓을 여인들에게 했다. 아예 연산군에게 여인을 갖다 바치는 역할을 하며 마지막까지도 연산군과 함께 했다. 그들의 비참한 최후야 말할 것도 없다.

이 모든 내용들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알고 있는 내용이야 많지만 상세히 기록과 함께 그의 시를 실으면서 연산군의 일대기가 어떠했는지 그 시대에 여인들이 어떠했는지를 들여다 볼 수 있어서 좋았다. 다만 아쉬운 점이라면 어려운 문구들이 많았다는 점이다. 이 참에 공부한다 생각하며 들여다 보았는데 많은 문구들이 실록의 내용을 그대로 옮겨담은 것 같아 쉽게 읽혀지지는 않았지만 역사의 한 장면을 실록과 야사의 내용들을 적절히 섞어가며 소설화시킨 부분은 참고해볼 만한 내용들이다.

폭군 연산과 그의 간신들... 그리고 그의 총애를 입은 여인들의 이야기.....

조선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