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끊임없이 거짓말을 할까
위르겐 슈미더 지음, 장혜경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11년 3월
평점 :
절판


한 독일 기자가 40일 동안 거짓말을 하지 않고 살면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기록한 책. 아이디어를 듣고 바로 짐 캐리 주연의 영화 '라이어 라이어'가 떠올랐는데, 작가도 말한 것처럼 영화는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진실만을 말해야 하는 반면 작가는 거짓말을 할 수 있는 상황에서도 진실만을 말해야 하는 핸디캡이 있었다.

거짓말을 하지 않으려면 그냥 말로 내뱉지 않으면 되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했지만, 저자는 더 엄격하게 자신의 생각을 말하지 않는 것도 거짓말에 포함시켰다. 그래서 프로젝트 시작일부터 불친절한 기차역 창구 직원에게 대놓고 욕을 한다.

다양한 에피소드가 펼쳐진다. 친구의 과거 여자친구에게 친구가 바람피웠었다는 것을 고백했다가 얻어터지고, 동료들에게 당신 기사 별로라고 했다가 욕을 먹고, 친구에게 인생 충고를 했다가 핀잔만 듣기도 하고. 싸우게 될 거라고 생각했던 형과는 감동의 포옹을 하고, 이해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던 아버지와는 싸우게 되는 등 종잡을 수 없다.

책 읽는 내내 '아, 이 사람 정말 결혼 잘 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작가가 헬스클럽에서 본 엉덩이가 예쁜 여자, 가슴이 예쁜 여자 얘기를 아내에게 아무리 해도 아내는 듣는 둥 마는 둥 한다. 계속 그러자 이유를 물어보니 아내의 답이 현명하다.

"… 내가 뭘 더 알기를 바라? 당신 예전 여자 친구들? 관심 없어. 다른 여자를 매력적으로 생각한다는 거? 알고 싶지 않아. 지금까지 내가 묻지 않았던 건 당신 거짓말이 싫어서야. 지금 묻지 않는 건 당신 대답이 듣고 싶지 않기 때문이야. 듣지 않아도 알고 있고, 또 관심도 없어. 난 지금 이대로의 당신이 좋아. 더 이상은 알 필요가 없어."

엄마와 아내는 다 알고 있다.

정직과 과장은 구분해야 한다. 예를 들면 "집이 너무 더럽잖아."와 "집이 너무 더러워. 돼지우리도 이것보다는 깨끗하겠어."는 다른 것이다.

정직은 또 부정적인 것에 대해서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다. 연인이 아름답다고 느낄 때 말로 표현해주는 것, 동료에 대한 진심 어린 칭찬 등 긍정적인 것에도 적용이 된다.

거짓말을 하지 않고 살 수는 없다. 하지만 보다 솔직해질 수는 있다. 나는 이 책에서 부정적인 것에 대한 정직보다 긍정적인 것에 대한 정직을 실천해야겠다는 교훈을 얻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