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성이 모든 것이다 - 부모의 우산에서 벗어나 아이 스스로 살아나가는 힘
이화자 지음 / 쌤앤파커스 / 2017년 9월
평점 :
품절




초반 이 책을 접했을 땐 왠지 모를 부끄럼과
 나를 위한 사회성이 아닌지 생각하게 하더군요~
나는 공부 잘하는  아이보다도 밝고 사회성 좋은 아이로 키우고 싶어
사회성이 모든 것이다를 읽게 되었습니다만~ 
읽고 나니 모든 게 엉망진창이라는 걸 알게 된 순간 좌절도 맛보았죠~

나는 자식을 사랑하고 위하는 마음에...
훈육도 아끼지 않았는데~문제는 그때마다 욱해서~
 누가 내게 말해도 기분 나쁜 말만 골라~ 아이한테 했다는 거~
상처받을 아이의 마음은 헤아리지 못하고~
 엄마가 사랑해서 하는 말이라고 강요를 했네요~ㅠ반성 중~

아이가 가끔 학교생활이 힘들어 이야기하면
 들으려고 하지도 않고 귀찮아하고~
너는 입이 없냐? 바보야? 왜 당하고만 있어?
나쁜 예는 거의 빠짐없이 제가 다 아이에게 말하고 있었더군요~
부모가 이성을 잃고 흥분하면 아이는 더 불안해하고
 죄책감을 갖는다고 하네요~이럴 땐 아이 마음을 다독거리며
"괜찮아 엄마도 너처럼 친구 문제로 힘들 때가 있었는데 지나고 보니 별것 아니더라"
" 네 잘못이 아니니 너무 걱정하지 마" "어떤 게 좋은지 생각해보자"
 ㅋㅋ 아~ 오글거려~ㅋㅋㅋ 적어놓고 오글리맘되려고요~ㅎㅎ




책 속에는 아이 마음을 여는 대화와 닫는 대화가 나와있던데..
어느 것 하나 빠짐없이...~ 다 사용하며 닫게 만드는데 공을 들였더군요~

moon_and_james-22

책 속에는 아이와 같은 또래들의
사례들이 많이 나와 동감 가는 부분이 많더라고요~
친구가 주변에 많다 해서 그 아이가 사회성이 좋은 것도 아니고~
내성적이라고 해서 사회성이 없는 것도 아니더군요~

아이의 문제점도 있겠지만 모든 아이의 문제점은 가정에서 비롯되고
엄마, 아빠의 행동이 아이의 사회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깨닫게 되었어요~
아이는 부모의 로봇이 아니라 하나의 인격체이며~부모의 울타리에서
 참을성을 기르고 자기조절이 자라도록 훈육해야 한다는 말을
명심하며... 다시 한번 나 자신에게 으싸하며 힘을 내어보려고요~


moon_and_james-3 
사회성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학습되는 실력이라 하니~ 그 실력 잘 키워 주고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