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랑한 화가들 - 살면서 한 번은 꼭 들어야 할 아주 특별한 미술 수업
정우철 지음 / 나무의철학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양한 형태의 문화와 예술을, 다양한 사람들의 인생을 느끼며 살아가자고 다짐했지만 내가 즐기는 주로 즐기는 문화는 여전히 영화와 간간히 읽는 문학 작품들뿐이다. 어릴 때부터 화가들과 그들이 그려내는 그림들을 동경했지만, 그저 동경했을 뿐 거리를 좁혀가는 건 엄두도 내지 못했다.


왜냐하면, 일단 나는 미술을 못했다. 난 흔히 말하는 똥손 그 자체였고 그래서인지 평가받는 게 무서워 나중엔 미술 시간 자체를 기피하게 되었다. 그 당시 미술 선생님이 굉장히 아이들을 차별하는 분이어서 더 그랬던 것 같기도…? 아무튼 꼭 내가 잘 그려야만 미술을 즐길 수 있는 건 아닌데, 사춘기의 나는 ‘미술은 나랑 안 맞아’라고 단언해버렸다. 그리는 걸 포기하면서 보는 것도 포기해버렸고, 그 후로 미술을 즐긴다는 건 왠지 어려운 일이 되었다.


영화관에 가는 건 쉬운데 미술관에 가는 건 어렵다. 미술관에 가려면 미술에 대해 잘 알아야 할 것. 같고 보는 눈이 있어야 할 것. 같고, 근데 그럼에도 어색해서 도슨트 투어 같은 건 신청하지도 못했다. 그렇게 왕왕 쫄보인 상태로 미술과의 거리를 매일 벌려가던 나에게 새로운 기회가 생겼다. <내가 사랑한 화가들>이라는 책을 만나면서 말이다.


<내가 사랑한 화가들>은 도슨트계의 유명한 스토리텔러, 정우철 도슨트가 집필한 책으로, 그가 사랑한 화가 열한 명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마르크 샤갈, 앙리 마티스,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알폰스 무하, 프리디 칼로, 폴 고갱 등… 미술 교과서에서 한 번쯤은 만나본 이름들에 담긴 사랑, 열정, 슬픔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며 스쳐 지나갔던 그들의 그림을 다시 오래도록 쳐다봤다.


어릴 때 교과서에서, 시험지에선 발견하지 못했던 인물들의 표정이 조금씩 눈에 들어오는 순간, 작은 감동이 일었다. 아, 여기서 이 사람이 행복해하고 있구나. 슬퍼하고 있구나. 그래서 이런 그림을 그렸구나! 머리가 탁- 돌아가는 느낌이었다. 분명 이 책에 담긴 그림들을 어디선가 보긴 봤다. 교과서에서, 시험지에서, 지나가면서, 인터넷 어딘가에서. 그래서 누군가 그림을 보여주면 “아, 이거 어디서 보긴 봤어. 알긴 알아.”라고 답했는데 알긴 뭘 알아…? 난 정말 하나도 모르는 사람이었다.


정우철 도슨트는 “그림은 화가의 언어”라고 말한다. 나는 누군가가 자신의 슬픔을 기쁨을 사랑을 절망을 표현하는 온갖 언어들을 봐놓고도 그냥 대단하다고, 신기하다고만 말했을 뿐 그 이상의 것은 보지 못하고 있었다.  영화 뜯어보는 건 그렇게 좋아하면서 그림 안에 들어가 볼 생각은 왜 단 한 번도 해보지 못했는지 모르겠다. 오늘은 이왕 보는 그림, 앞으론 제대로 즐겨보기 위해 부끄러워말고 전문가들의 정보를 열심히 주워 들어보자 다짐해본다. 다음에 미술관에 가면.. 도슨트 투어를 꼭 신청해봐야지.


이 책을 읽으면서 조금 묘한 기분이 들었다. 분명 내가. 스스로 글씨를 읽고 있는 중인데? 이상하게 누군가 나에게 글을 읽어주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사근하고 친근한 글 때문인지, 내가 책을 읽어나간다는 느낌보단 정말 친절한 안내를 받는다는 느낌이 더 컸다.

미술, 화가에 대한 이야기라고 해서 조금 어려울 수도 있겠다, 어색할 수도 있겠다. 걱정했는데, 걱정한 게 무색할 만큼 정말 재밌었다. 작품의 의미나 테크닉, 역사 같은 것을 냅다 해석해주는 책이었다면 눈이 빙빙 돌았을지도 모르겠지만, <내가 사랑한 화가들>은 그림에 담긴 비하인드 스토리를 듣는듯한 느낌이 더 강해서 가까운 이와 마주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듯 어렵지 않게 다가오는 책이었다.


위대한 화가이자 평범하고 꿋꿋한 사람이었던 그들의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스치듯 봐온 익숙하지만 먼 그림들 속에서 새로운 표정을 발견하고 싶다면 <내가 사랑한 화가들>을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