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요일에는 코코아를 마블 카페 이야기
아오야마 미치코 지음, 권남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이면 봄마다 찾아 읽을 재미있는 소설을 읽었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확실히 깨달은 점이 있다. 인물 간 연결고리를 좋아한다는 점이다. "역시 난 이런 소설을 좋아해. 너무 좋아!" 마음속으로 몇 번이나 외쳤다. 소설은 마블 카페에서 일하는 와타루의 시점에서 시작된다. 와타루는 매주 목요일 3시를 기다린다. 그가 좋아하는 '코코아 씨'가 오는 때이기 때문이다. 네가 오후 네 시에 온다면 나는 세 시부터 행복해질 거라는 말처럼 와타루 역시 행복한 마음으로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코코아 씨의 등장. 나도 너무 궁금했다. 코코아 씨가 앉던 자리에 다른 사람이 앉아 있는 걸 보고 언제 일어나나 조마조마 해하는 와타루가 풋풋하게 느껴졌다. 손님이 나가자마자, "비었습니다. 늘 앉으시던 자리 말입니다. 좋아하는 자리에 앉는 것만으로 힘이 날 때가 있잖아요."라며 코코아 씨에게 말을 건네다니. 와타루의 이런 마음을 코코아 씨가 아는지 모르는지 독자 마음을 들었다 놨다아 해~


와타루를 비추던 핀 조명은 어느덧 다음 인물로 옮겨갔다. 두 번째 단편의 주인공은 아사미. 광고 회사 직원이자 유치원에 다니는 아들을 둔 엄마이다. 집안일에 서툰 아사미가 아들을 위해 열심히 도시락을 싸는 모습이 애처롭게 느껴졌다. 가장이나 엄마로서의 입지에 불안함을 느껴 다급한 마음으로 계란을 말아보지만 잘되지 않는다. 남편에게 도움을 받아 계란말이를 무사히 완성하게 된다.


"잘했어. 멋진 엄마야, 전혀 못난 엄마 아냐. 그렇게 성실하고 순수한 아사미가 좋아."(39쪽)


남편의 칭찬이 아사미에게 날아들었고 불안했던 하루를 안도감으로 바꿀 수 있게 했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저런 따뜻한 말이 아닐까 생각하며 나 역시 따뜻해졌다. 아사미 다음으로 핀 조명을 받을 주인공은 이미 나왔다. 이 사람과 이렇게 또 연결되었구나! 하며 읽어나갔다. 이처럼 소설은 A에서 B로, 또 C로 넘어간다.(처음부터 관계도를 그리면서 읽었다!) 다음 편의 주인공은 누구일지 기대하게 된다.


우리의 삶 역시 다른 사람들과 연결되어 있다. 혼자서는 살 수 없는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누구라도 한 명 연결될 수밖에 없다. 내가 주인공인 삶을 잠깐 내려놓고 주변을 둘러보면 또 다른 주인공들이 보인다. 그런 점에서 나는 주인공이기도 하고 엑스트라이기도 하다. 서로가 잘 되기를 바라는 따뜻한 마음이 중요한 것 같다. 따뜻함 하나가 다른 사람에게 가서 두 개가 되고 세 개가 되면 좋겠다.


생각해 보면 많건 적건 누구나가 누군가에게 그런 존재일지도 모른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우리는 누군가의 인생에 한자리 잡고 있다.(159)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