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 시스터 자음과모음 청소년문학 89
김혜정 지음 / 자음과모음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어 시스터> 저자인 김혜정 작가는 '십대를 위한' 글을 쓴다. '어른이 되었지만 여전히 다 자라리 못했다는 걸 깨닫고, 성장소설을 쓰면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글을 쓴다는 작가님의 말에서 부족함을 인정하고 나아가기 위한 따뜻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소설에는 여름방학을 맞아 엄마와 함께 치앙마이로 떠난 이나와 아빠를 따라 베를린으로 간 주나가 나온다. 한국에서는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있던 두 자매. 둘은 늘 함께였기에 잘 몰랐던 서로의 소중함을 느끼며 태국 치앙마이에서 독일 베를린까지 8,061km를 넘어 다정한 말을 주고받는다.

서로에게 '믿는 구석'이 되어주는 이나와 주나를 보면서 동생들이 떠올랐다. 어렸을 때는 싸우기도 참 많이 싸웠다. 내가 일방적으로 신경질을 낸 적도 많다. 대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쭉 떨어져 지냈다. 방학이면 인턴이니 봉사활동이니 해야 된다고 하며 집에도 안 가고 기숙사에 있었다. 너무 바빠서 외로운 줄도 몰랐다. sns에서 동생이 친구들과 찍은 사진을 봤는데 내가 알던 얼굴이 맞나 싶을 정도로 환하게 웃고 있는 예쁜 모습이었다. 그때 갑자기 눈물이 탁 터졌다. 뭔가 훌쩍 떠나버린 것만 같은 기분이 들었다. 고민이 있으면 말하라고 했더니 '이제 와서?'라고 했다. 최근 동생을 보고 왔는데 그때 이야기를 물으니 술술 이야기한다. 왜 나한테 힘든 걸 이야기하지 않나 서운했는데, 내가 제대로 물어보지 않은 거였다.

이나와 주나가 각자 자신의 마음에 담긴 말을 꺼내놓을 때 나도 덩달아 마음이 울렁 했다.

디디 이나. 디디 주나.

"You just say thank you."

<디어 시스터> 저자인 김혜정 작가는 '십대를 위한' 글을 쓴다. '어른이 되었지만 여전히 다 자라리 못했다는 걸 깨닫고, 성장소설을 쓰면 성장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글을 쓴다는 작가님의 말에서 부족함을 인정하고 나아가기 위한 따뜻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이 소설에는 여름방학을 맞아 엄마와 함께 치앙마이로 떠난 이나와 아빠를 따라 베를린으로 간 주나가 나온다. 한국에서는 엎어지면 코 닿을 거리에 있던 두 자매. 둘은 늘 함께였기에 잘 몰랐던 서로의 소중함을 느끼며 태국 치앙마이에서 독일 베를린까지 8,061km를 넘어 다정한 말을 주고받는다.


서로에게 '믿는 구석'이 되어주는 이나와 주나를 보면서 동생들이 떠올랐다. 어렸을 때는 싸우기도 참 많이 싸웠다. 내가 일방적으로 신경질을 낸 적도 많다. 대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쭉 떨어져 지냈다. 방학이면 인턴이니 봉사활동이니 해야 된다고 하며 집에도 안 가고 기숙사에 있었다. 너무 바빠서 외로운 줄도 몰랐다. sns에서 동생이 친구들과 찍은 사진을 봤는데 내가 알던 얼굴이 맞나 싶을 정도로 환하게 웃고 있는 예쁜 모습이었다. 그때 갑자기 눈물이 탁 터졌다. 뭔가 훌쩍 떠나버린 것만 같은 기분이 들었다. 고민이 있으면 말하라고 했더니 '이제 와서?'라고 했다. 최근 동생을 보고 왔는데 그때 이야기를 물으니 술술 이야기한다. 왜 나한테 힘든 걸 이야기하지 않나 서운했는데, 내가 제대로 물어보지 않은 거였다.


이나와 주나가 각자 자신의 마음에 담긴 말을 꺼내놓을 때 나도 덩달아 마음이 울렁 했다. 디디 이나. 디디 주나.

"You just say thank you."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 리뷰입니다.

엄마는 아무래도 주나가 사춘기라서 그런 것 같다고 말했다. 아무래도 사춘기는 어른들을 위한 것 같다. 아이들을 이해하지 못하는 어른들은 그 단어 하나로 모든 것을 무마한다. - P40

행복은 과정 중에 있다며, 그림 그리는 동안 즐거웠으니 괜찮다고 했다. - P73

언니니까, 언니니까, 언니니까. 언니라는 이유만으로 이나가 양보하고 참아야 할 때가 많닸다. 그래, 내가 언니라서 참는다 치자. 도대체 너는 동생이라서 하는 게 뭐야? 누가 언니로 태어나고 싶다고 했나? - P105

그랬던 언니인데, 왜 지금은 이렇게 됐을까. 주나가 물어보고 싶었지만 묻지 못하고 있는 게 하나 남았다. 언니는 왜 그럴까. ... 괜히 아무 문제도 없는데 문제를 만들고 싶지 않았다. - P115

나는 나를 조금 더 많이 좋아하고 싶어. 다른 사람 신경 덜 쓰고, 나에게만 집중하고 싶어. 내가 나를 좋아하는 건 정말 어려운 일 같아. - P1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