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파리의 플로리스트
이정은 지음 / Lik-it(라이킷) / 202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인 이정은 플로리스트는 한국에서 일본, 다시 일본에서 프랑스로 건너가 긴 타지 생활을 했다.

어쩜 그렇게 용기 있게 떠날 수 있었을까. 즉흥적인 여행을 동경하면서도 겁이 많은 나로서는 차마 차마 시도하지 못할 너무 부럽고 두려운 일이다.

작가님의 글 속에 다 담기지 못한 어려운 일-아마도 인종차별 문제나 낯선 곳에서 적응해야 하는 것-은 많았을 것이다. 짠- 하고 성공적인 느낌을 주지만 얼마나 열심히 노력하셨을지 다 헤아리기도 어렵다.

 

글 속에서 엄청나게 공감됐던 부분이 있다.

그건 바로 <플로리스트 ≠ 우아하게 꽃 만지는 사람>라는 것!

 

멀리서 봤을 땐 우아하게만 보였던 플로리스트가 단순히 꽃다발을 만들어 파는 것만이 아니라, 새벽같이 꽃 시장에 가서 꽃을 사 오고, 사 온 꽃을 다듬고 물꽂이를 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꽃향기 가득한 곳에서 예쁘고 우아한 모습을 생각하고 플로리스트라는 직업을 선택한다면 곧 그만두지 않을까 싶다. 꽃을 만지는 사람은 아주 부지런해야 한다. 가시에 찔려 손을 다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작가님은 <항해 목표를 다 짜놓고도 예상치 못한 난관에서 우회한다>고 한 것처럼 이미 선택한 길을 바꾸는 것을 택했다. 안정된 수업과 높은 직책, 익숙한 업무를 잃고 불안정한 수입과 인턴, 낯선 업무를 얻었다. 모든 선택에는 기회비용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 책을 읽는 나조차 '잘못 선택한 건 아닐까? 그동안의 노력이 아깝다'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니 가족들은 얼마나 아쉬웠을 것이며, 본인 또한 아쉬움이 남지 않았겠는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작가님은 특유의 성실함으로 공백을 메꿔나갔다. 힘들다고 그만두는 게 아니라 더 치열하게 노력하면서 자신의 자리를 지켜나갔다. 내가 정말 멋지다고 생각하는 부분도 바로 이 점이다. 더불어 이 책이 정말 좋다고 생각한 점이기도 하다.

플로리스트라는 직업에 대해 관심이 있거나 혹은 그렇지 않을 경우라도 이 책을 읽으면서 삶을 대하는 자세를 배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어떤 자리에서 무슨 일을 하든 자신의 일에 최선을 다하는 것. 그러면서도 자신의 생각을 분명히 표현할 수 있는 태도를 지닐 것.

 

이 책을 읽으면서 꽃 수업을 들었던 지난날을 떠올렸다. 꽃을 만졌던 그 시간들은 온전히 몰입할 수 있는 있는 행복한 시간이었다. 그때의 시간을 바탕으로 꽃과 함께 하는 행복을 알게 되었고, 일상의 틈에서 꽃 한 송이 돌아볼 여유를 챙기게 되었다.

꽃향기 폴폴 나는 책 <나는 파리의 플로리스트>와 함께해 행복한 시간이었다♥



서평 이벤트에 참여 후 책을 제공받아 작성한 주관적 리뷰입니다.

#나는파리의플로리스트 #이정은 #에세이 #은행나무 #은행나무라이킷

어쩌면 꽃말을 잘 알고 부케만 예쁘게 만들어내는 플로리스트가 아닌, 꽃을 사랑하는 이들에게 어떻게 사랑을 전달하면 되는지 궁금했던 것 같다. 꽃으로 얻을 수 있는 행복의 가치를 전해줄 수 있는 플로리스트가 되고자 하는 마음이 이미 내 안에서 간절했는지도 모르겠다. - P78

아뜰리에의 꽃 작업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체력적인 작업들이 대부분이었다. 사실 플로리스트의 시작은 거기서부터다. 우아하게 꽃만 만지는 사람으로 생각한다면 영화의 오프닝만 보고 줄거리를 다 안다고 자부하는 것이나 다름없다. - P104

인생은 참 아이러니하다. 먼바다를 항해하는 배에 올라탄 것처럼. 항해 목표를 다 짜놓고도 예상치 못한 난관에서 우회한다. 그리고 조금 더 멀리 돌아가는 과정에서 예정에 없던 희로애락을 맛본다. 20대 중반 내가 선택한 길에서 30대를 위한 또 다른 선택을 하기까지 계획에 없던 일들로만 채워졌다. 그 선택 뒤에는 희생과 포기해야 할 것들이 사은품처럼 꼭 따라왔다. - P147

한국인으로서 일본과 프랑스적인 시각에서 배우고 익혀온 장식의 하모니가 잘 묻어나는 작품을 표현해낼 수 있다면 좋겠다. 누가 봐도 내 손을 탄 그런 작품.
언젠가 나만을 위한 작업을 파리와 한국에서 이어갈 즈음엔 지금보다 더 확고한 스타일을 가지되, 부러지지 않고 유연하게 융합할 수 있는 단단함이 묻어나면 좋겠다. - P1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