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벗은 세계사 : 전쟁편 - 벗겼다, 끝나지 않는 전쟁 벌거벗은 세계사
tvN〈벌거벗은 세계사〉제작팀 지음 / 교보문고(단행본)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가 기록된 후 전쟁은 얼마나 많이 발발했을까? 인류 역사에서 전쟁을 빼놓으면 기록할 것이 뭐가 있을까 싶게 전쟁은 세계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그 전쟁은 아이러니하게도 인류가 발전하고 성장하는 계기가 되어왔다. 한마디로 세계사는 전쟁사나 다름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은 세계사의 흐름을 읽을 수 있었던 아주 좋은 기회가 되었다. 인물 편과 사건 편에서도 엄청난 재미와 지식을 남겨주었던 <벌거벗은 세계사>는 <전쟁 편>에서는 끝판왕처럼 세계사의 흐름까지 알게 해 주는 정말 알찬 정보를 알게 해 주었다. 장르소설보다 더 재미있게 읽은 세계사 책. 말해 무엇하랴~ 중동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전쟁에 그저 고개만 설레설레 흔들던 나는 이 한 권의 책으로 그들이 전쟁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이해하고 국제정세를 바라보는 눈이 달라졌다. 안다는 것이 이런 거구나 싶다.


프랑스와 영국이 116년간 싸운 <백년전쟁>. 그리고 그 안에서 탄생한 영웅 '잔다르크'. 왕위 계승에서 시작된 불화가 계기가 되어 몇 대에 걸쳐 이어진 백년전쟁을 알아보고 불과 2년 만에 영웅에서 마녀가 된 잔다르크에 대한 역사적 사실이 소설보다 더 재미있게 펼쳐진다. <미국 독립전쟁>은 사실 처음으로 자세히 접한 전쟁이다. 종교적 자유를 얻기 위해 아메리카 대륙으로 향했던 청교도들의 정착 기와 영국에서 과도한 세금에 대한 반발이 전쟁을 불러일으켜 8년에 걸친 독립전쟁을 통해 미국이 탄생한 역사를 돌아본다. 다음은 역사상 가장 부도덕한 전쟁인 <아편 전쟁>을 통해 냉혹한 국제 질서를 다시금 되새겨본다.
<메이지 유신>은 어슴푸레 알고 있던 역사적 사실들을 명확히 하는 시간이었다. 일본의 막부정치가 천황을 중심으로 하는 개혁을 이룬 후 선진문물을 받아들여 힘을 키운 후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을 침공하면서 일본 군국주의의 탄생을 지켜보며 이 모든 과정을 불과 20년에 해내는 일본의 추진력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은 내겐 진짜 충격적인 이야기였다. 전 세계를 떠돌던 유대인이 어떻게 이스라엘에 정착하게 되었으며 그 뒤에 숨은 영국의 치사하고 졸렬한 사기극이 치를 떨게 한다. 결국 이 모든 게 파워게임이었고 그 파워는 역시 돈인가 싶어 씁쓸하다.
미국 역사상 최악의 전쟁이었던 <베트남 전쟁>. 이 전쟁 또한 강대국이 '만들어낸' 전쟁이었다. 20여 년에 걸친 전쟁으로 엄청난 대가를 치른 미국. 소련을 견제하기 위해 치른 전쟁이었으니 '과연 우리에게 필요한 전쟁이었나?'반문할 만하다.
<소말리아 내전>은 정치인을 잘못 뽑으면 어떻게 되는지 진저리 치도록 느끼게 해주었고, <아프카니스탄 전쟁>은 탈레반과 아프카니스탄을 하나로 알고 있었던 내 무지를 깨닫는 시간이었다. 지리적 위치 때문에 강대국들의 주도권 경쟁이 있었고 결국 영국과 러시아에 이어 미국과 소련의 희생양이 된 아프카니스탄과 911테러를 일으킨 탈레반에 대해 알게 되며 우리나라와 흡사한 강대국에 좌지우지한 그들의 역사를 보며 아프카니스탄을 다시금 보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책 속엔 1337년에 시작된 백년전쟁부터 2022년 일어난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세계를 뒤흔든 전쟁들의 숨은 이야기가 담겨있다. 읽는 내내 내가 얼마나 무지했는지,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그들을 비난했는지 깨닫는 시간이 되었다. 이 책을 읽으며 느낀 건, 이 전쟁들이 거의 모두 식민지 역사에서 탄생한 결과물이었고 그 안엔 늘 영국이 끼어있었다는 거, 그리고 약한 나라엔 어이없이 모든 강대국이 간섭하고 끼어들어 땅따먹기와 세력 다툼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세계사 속 전쟁도 파워게임이었다. 그리고 그 파워는 역시 돈이었다. 역시나 부국강병이 답이었다. 또한 소말리아의 역사를 보며 '정치를 외면한 대가는 가장 저질스러운 인간들에게 지배당한다는 것이다'라는 플라톤의 말도 떠올려보았다.


우리에겐 과거의 진실을 제대로 보고 객관적으로 볼 줄 아는 힘이 필요하다. 그러기 위해 역사를 바로 알아야 한다. 그것이 비록 고통스럽고 힘든 작업일지라도 분명한 역사 인식만이 과거의 전철을 되풀이하지 않는 힘이 되어줄 테니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세계사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놓은 <벌거벗은 세계사>는 최상의 선택이 아닐까 싶다. 진짜 엄지척하며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