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마잡담
마광수 지음 / 해냄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마광수의 광마잡담을 읽었다.


우울증을 이겨낸 마광수에게 박수를. 읽어보니 존나 재미있다.

어깨에 힘빼고 갈겨대는글은 그렇게 좋다.

생각해보면, 작가놈이란것들은 민중에게

"재미"를 봉사하기 보다는
축 늘어진 성기에 대한 불만탓에 어려운 단어를 내깔기거나

줏어들은 소리를 해대는 놈들이 많도다.

그런데 마광수는 적어도 소설 면에서 기원을 이루었다.

아마 싸드처럼 항문이 밀폐되어 혈이 누수될 정도로

공부만 하는 분들은 이해못할 어떤 경지 말이다.

그는 서구의 '작가'적인 지식인적인 지랄(환장)을 모두 치워버리고

혼자 음울하게 자위(마스터베이션)하지 않고

글로서 모든 상상력의 해방을 기원한다.

그 대상은 청소년, 귀신, 여우, 인어, 갈치, 외계인,...

하여간 접속 가능한 모든 이와 쿤닐링구스와 펠라티오

(즉, 서로 상대방의 자지 및 보지를 빨아주기, 핥아주기)를 나누는

내공을 마치 판소리적인 음율을 가지고

전통적 민중서사 양식을 획득하면서 풀어낸다.

김지하의 '오적'같은 형태이다.

물론 마광수의 이 소설은 "광마일기"라는 한창 잘나갈때의 소설과

중국 요재지이를 합치면서 자기 나름대로의 썰까기

-성기에 대한 고혹적인 한자음의 붙임을 이룬것이라서

마광수를 오랫동안 지켜본 놈년들에게는 별볼일 없는 작품이다.

하지만, 근래들어 작가놈년들이 발표하는

소설 나부랭이들을 지켜보다가 지친 나로서는

신선함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존재하는 모든것과의 소통이란 주제를 만약에 고민한다면,

 '광마잡담'을 읽어보라.


평소 "빨가벗고 소통하자"는 소신을 가진 나로서도

마광수의 이번 소설, 우울증을 극복하고 발표한 작품에 박수를 보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