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밥상 - 농장에서 식탁까지, 그 길고 잔인한 여정에 대한 논쟁적 탐험
피터 싱어.짐 메이슨 지음, 함규진 옮김 / 산책자 / 2008년 4월
평점 :
일시품절


죽음의 밥상... 제목만큼이나 강렬한 내용이 첫장부터 펼쳐졌다. 최근 대한민국을 들쑤셔 놓았던 쇠고기 수입과 관련하여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실상에 운 좋게 접한 이 책은 내가 주장했던 쇠소기 수입의 반대 이론과는 같다면 같을 수 있지만 어찌 보면 전혀 다른 또 하나의 반대 이론을 펼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주위의 사람들을 보면 이번 쇠고기 수입과 관련하여 열의 아홉은 반대의 이론을 제시한다. 어쩌다 한 두명씩 쇠고기 수입에 대한 찬성 이론을 내세우면 마치 큰 죄나 지은 듯 이해가 안된다는 표정의 주위 사람들로 하여금 당당한 주장조차 내세우기 힘든 지금, 중학교 1학년 아이들을 데리고 토론 수업을 해보았다. 역시나 찬성의 이론을 내세우는 학생들은 따가운 주위 친구들의 시선을 견디기 힘들어 했고, 어리다보니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조차 합리적이지 못했다. 학생들의 토론은 사실 학생들의 생각이라기보다는 주위 어른들의 이야기나 언론 매체에 거름틀없이 노출되어 받아들인 내용이 많다. 그들은 이야기한다. 쇠고기를 먹음으로써 생길 수 있는 광우병에 대하여...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결국 하나다. 그 고기를 먹고 걸릴 수 있는 우리 인간을 죽음으로까지 내몰 수 있는 질병에 대한 이야기.... 아무도.... 그 소의 입장에서 생각해 본 적은 없고, 이야기하지도 않았다. 쇠고기 수입 문제와 함께 대한민국을 암울하게 만들고 있는 또 하나의 문제는 AI이다. AI...언제부터였을까? 어릴적 들어본 적도 없던 AI라는 질병.... 육류의 3대 시장 중 2대에 비상이 걸린 지금... 그렇다면 돼지고기는 안전할까?

이 책은 쇠고기 수입에 대한 반대이론조차 철저하게 이기적이고 인간중심적인 우리의 생각 자체를 뒤집어 놓는다. 소의 입장에서, 돼지의 입장에서, 닭의 입장에서 철저하게 "윤리적인" 소비를 위한 바람직한 자세가 무엇인지를 묻는다. 그리고 이야기한다. 물론, 미국의 이야기다. 대한민국에서 작가 피터 싱어, 짐 메이슨이 글을 쓸 당시의 상황과 100% 같은 일이 벌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아니 아니라고 믿고 싶다. 이래서는 안된다. 소중한 생명을 잔인하게 앗아가는 대신 우리는 그들의 생명에 경의를 표하고 그들의 귀한 생명의 가치만큼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야한다. 하지만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은 그들의 생명을 무시한다. 사람을 위해 존재하는 수많은 "것"들에 불과하다 생각한다. 사람들의 이익을 위해서 그들은 존재하는 것이다. 물론 윤리적인 가치를 따지는 사람들도 많다. 하지만 아무리 그래도 자유경쟁시대의 미국사회에서는 그들의 윤리적 존중보다는 실질적인 이익을 따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을 자아내고 있고. 이러한 현실은 바로 사람들이 만들고 있는 것이다. 관절염에 걸려 넓은 장소를 제공해주어도 걷지 못하는 닭이나, 소비자의 입맛을 위해 마치도 하지 않은 채 거세되어야 하는 아픔을 이겨내야하는 돼지,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삶의 전체를 출산의 고통으로 보내야하며, 출산 이후 자신의 피와 살로 만들어낸 소중한 아기를 빼앗길 수 밖에 없는 소. 끊임없이 자학을 통해 본능을 삭힐 수 밖에 없는 이러한 동물들이 바로 인간의 이기심 때문에 존재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자연그대로 동물을 사육하는 여러 농장의 경우도 있으나 그들 역시 100% 자연그대로일 수는 없다. 그들의 싸이클에 인간이 맞쳐지는 것이 아닌 인간의 싸이클에 그들을 맞추기 때문이겠지? 언제까지 인간은 이토록 이기적은 모습을 가지고 약육강식의 피라미드 꼭대기에서 잔인한 웃음을 지으며 피라미드 아랫쪽에 위치한 동물들을 농락할 것인가? 이 책은 이러한 이야기를 묻고 있다. 과연 해결책은 없을 것인가에 대한 끝이 없는 이야기에 딴지를 걸고 있는 것이다.  

거기에 더 나아가 육류만의 문제가 아닌 어업, 농업에 대한 부분까지도 진지하게 묻고 있다. 당신의 밥상에 올라있는 그것들이 안전한 음식인가?하고... 지속가능한 어업을 통해, 수송거리를 줄여 co2배출량과 석탄소비량을 줄여주면서 신선함과 맛을 제공하고 건강을 지킬 수 있는 로컬푸드, 과학기술의 발달로 생겨난 유전자 조작음식등에 대한 실태를 제시하면서 작가는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해야한다는 작가의 실랄한 비판이 아닌, 독자 스스로 작가가 제시하는 근거를 통해 생각하고 비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고 있는 것이다. 삶의 전반에서 먹거리가 차지하는 많은 비중적인 면을 보더라도 매우 예민한 부분에 있어서 작가는 끊임없는 관찰과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섯부른 주장을 통해 독자들에게 반감을 사기보다는 독자에게 있어 생각할 수 있는 자유를 제공하고 있다. 

오늘 식탁을 차리면서 무엇을 먹을까라는 고민을 하게 만드는 글자의 책이 아닌 삶의 책으로서 주위 사람들에게 꼭 권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1)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yuna의 생각
    from yuna's me2DAY 2008-05-21 01:39 
    '우유를 생산하기 위해 삶의 전체를 출산의 고통으로 보내야하며, 출산 이후 자신의 피와 살로 만들어낸 소중한 아기를 빼앗길 수 밖에 없는 소' - 이런 글을 읽으면서 '그래, 지금까지 먹은 생명으로도 충분히 미안해'라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고기는 맛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