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벵하민 라바투트 지음, 노승영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의 원서 제목은 ‘When we cease to understand the world’. ‘understand’. 이 단어의 해석은 이해하다이다. know, learn, perceive와 다르다. 알다, 인지하다, 인식하다와 다르게 이해하다는 상당히 정서적인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다. 우리는 상대방에게 화가 날 때 도대체 너를 이해할 수 없다라고 한다. 대상을 파악한 끝에 감정적으로 공감할 수 있어야 비로소 이해한다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논픽션 소설의 등장 인물들은 너무나 세상을 이해하고 싶었음에도 세상에 대한 이해를 멈출 수 밖에 없었던 사람들이다. 타고난 지적 능력과 정열을 결합시켜 거대한 발견의 순간과 마주할 수 있었던 사람들, 그러나 막상 그 발견의 순간 얼어붙을 수 밖에 없었던 수학자와 과학자들이다. 슈뢰딩거와 유치하기 짝이 없는 싸움을 벌이면서까지 몰두한 연구의 종점에서 세계는 합리적 신이 운영하는 단단하고 확고한 실재가 아니라 우연과 변덕으로 가득찬 혼돈의 주사위에 불과하다는 걸 입증하고야 만 하이젠베르크의 이야기가 그 중 가장 돋보인다. 세상을 설명하기 위해 시작한 그 모든 일이 결국은 세상은 설명할 수 없다는 증명으로 논리적으로귀결되었을 때 물리학자 하이젠베르크는 어떤 기분이었을까? 이를 받아들일 수 있었을까.

이 책의 다른 등장인물들도 마찬가지다. 인류를 굶주림으로부터 해방시킨 합성 비료를 발견하였지만 동시에 수백만명의 목숨을 앗아간 치클론B와 염소가스를 창조해낸 프리츠 하버, 참호 속에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의 을 발견하였지만 그로 인해 예견된 블랙홀의 존재에 놀라 자신의 정답을 부정하려고 애썼던 슈바르츠 실트, 수학계에 바친 공헌에도 불구하고 세상이 그 천재성을 인정하지 않았던 그로텐디크와 모치즈키 신이치. 처절하기까지 한 지적 욕구 때로는 승부욕으로 세상의 일각에 불을 밝혔지만 거기서 그들이 마주한 것은 차라리 몰랐으면 더 행복했을 진실이고 현실이었다. 그들이 알아낸사실은 절대 이해할 수 없었고때로는 이해를 받지도 못했다.’

이 아이러니가 장엄하게 다가오는 것은 역시 작가의 스토리텔링 능력 때문일 것이다. 시적인 언어로 그려내는 학자들의 내면 세계는 자연과학의 규칙과 법칙들로 가득하지만 신기할 정도로 가독성이 좋다. 작가는 지루한 설명을 철저하게 거부한 채 오직 세상을 이해하고 싶어했던 사람들의 내면 세계를 상상력의 물감으로 그려내는데 집중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을 읽다보면 학자들의 머릿 속이 보인다. 그들의 구상, 그걸 탐구하기 위한 철저한 몰두가 날 것 그대로 느껴진다. 세상을 안 순간’ ‘이해하기를 멈출 수 밖에 없었던처절함이 감정적으로 와닿는다. 담담한 묘사는 그 처절한 도전이 절대로 이 책에 나오는 사람들에게서 끝나지 않을 것이라는 사실, 모르는 게 행복인 걸 도저히 견딜 수 없는 송곳 같은 누군가가 또 지적인 비극과 마주할 것이라는 슬픈 미래를 우리에게 암시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