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비, 해방의 괴물 - 팬데믹, 종말, 그리고 유토피아에 대한 철학적 사유
김형식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좀비들이 판치는 세상, 누가 진짜 '좀비'일까


좀비물을 무척 싫어한다. 평소 스릴러 장르를 무서워하기도 하고, 피로 범벅이 된 괴기한 모습과 인간으로서의 존엄이 파괴된 듯한 야만적인 몸부림을 계속 지켜보아야 하는 게 썩 유쾌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은 현실을 갉아먹는 진짜 좀비는 누구인지 묻는다.


코로나19 팬데믹이 3년째 지속되고 있다. "코로나 끝나면 조만간 보자(p10)"라는 말은 내일모레가 아닌 예상할 수 없는 먼 순간을 기약하는 말이 되었고, 방역의 최전선에서 일상의 회복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분들에게는 영웅이라는 칭호가 붙었다. 그러나 저자는 충격적이게도 이들을 영웅으로 호명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평소에는 찬사받지 않던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들이 극한의 재난 상황에서만 영웅으로 부상하는 게 정말 그들을 위한 것인지 고민하던 나였기에 그의 말은 신선하면서도 반가웠다. 그는 최소한의 생존만을 유지하는 것이 삶의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다. 일상을 '지키는' 것을 넘어 문제를 제기하고 깨부수는 순간이야말로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순간이 아닐까.


그렇다면 저자는 왜 좀비를 책의 전면에 내세운 것일까. 그는 좀비가 종말의 원인이 아닌 결과(p16)라고 말한다. 좀비가 있기 전에 이미 세상은 미쳐 돌아가고 있었다. 우리가 그렇게 돌아가고 싶어하는 '일상'이 사실은 수많은 재난들의 집합체였고, 그것이 가시를 키우고 늘려 일상 밖으로 빠져나와 재난의 모습으로 발현된 것이다. 같은 맥락에서 코로나19는 재난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p17)라고 그는 지적한다. 세계화에 따른 교류의 활성화와 기후위기 등의 현실이 산재했음에도 인류는 이를 무시하고 눈앞의 편의만 좇았고, 그에 따라 전세계적 감염병의 도래는 당연한 수순이다.


저자는 종말 이후의 세계는 사후 세계를 생각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한다. 모두가 사라진 이후의 세상을 그 누가 경험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단지 이를 이유로 종말 자체에 대한 사유를 멈추는 것을 그는 경계한다. 그는 인류가 자연적 종말과 반(反)자연적 종말을 경계하고 이를 대비하기 위한 끝없는 고민을 강조한다. 좀비가 타자가 아닌 자신이 되어버린 지금, '평범한 재난'들에 눈을 뜨고 새로운 세계를 향해 나아갈 때이다. 


#좀비해방의괴물 #김형식 #한겨레출판 #하니포터 #하니포터3기_좀비해방의괴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