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 AI와 통제 문제
스튜어트 러셀 지음, 이한음 옮김 / 김영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이 서평은 김영사 대학생 서포터즈 활동의 일환으로 김영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


AI의 명과 암에 대한, 전문가의 이유 있는 Yes or No: <어떻게 인간과 공존하는 인공지능을 만들 것인가>


AI는 우리에게 그 어느 때보다 가까이 다가왔다. 아침에 일어날 때부터 잠들 때까지 AI가 손을 미치지 않는 순간이 있을까?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이 일상어가 되고, 코딩과 프로그래밍이 필수가 된 지금, AI라는 황금 거위에 대한 막연한 희망과 AI가 우리를 집어삼킬지 모른다는 두려움이 공존한다. 그러나 인공지능 분야의 저명한 권위자인 저자 스튜어트 러셀은, 전문가로서 자신의 '짬바'를 이용하여 이러한 막연한 낙관과 비관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논리를 제시한다.


책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AI의 역사부터 인간의 마음을 품은 인공물을 만들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인 지능의 창조, 인공지능 비서부터 자율주행자까지 AI의 미래, 오용의 위험성 등 폭넓은 이야기를 한정적인 지면에서 날카로운 통찰로 펼쳐낸다. 해당 분야 전문가뿐만 아니라 대중들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작성되었다고 하지만, 100% 문과생인 나에게는 마냥 술술 읽히는 느낌은 아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신비한 발전으로만 느껴지는 AI가 어떻게 우리의 피부가 되어가고 있는지, 그 과정에서 겪게 될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 현상들은 무엇이 있는지 개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유효한 가이드였다.


AI 덕분에 더욱 편리한 삶을 살게 될 것이라며 손을 놓고 있는 것도, 로봇이 인간을 지배하는 세상을 그린 수많은 SF 영화들의 먹구름에 갇혀 AI의 발전 자체에 눈살을 찌푸리는 것도 정답이 아님을 깨달았다. 이미 인공지능은 우리 옆에 존재한다. 책의 제목처럼, 그 인공지능과의 바람직한 공존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고민을 하며 책장을 덮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