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본준의 마음을 품은 집 - 그 집이 내게 들려준 희로애락 건축 이야기
구본준 지음 / 서해문집 / 2013년 2월
평점 :
어느 날 신문 1면에 난 책 광고에서 본 노란색 표지가 눈길을 끌었다.
그리고 단 한 줄의 서평,
'그의 안목을 어떻게 믿느냐고? 그것은 이 책을 읽어보면 알게 된다'는
유홍준 선생의 말을 읽자마자 온라인 사이트 '장바구니 담기' 버튼을 눌렀다.
이 책의 부제는 '그 집이 내게 들려준 희로애락 건축 이야기'다.
희로애락이라는 마음 상태에 맞게
저자가 인상깊게 보아 온 건축물과 공간을 분류했다.
그렇다.
사람에게 희로애락이라는 감정이 있으니
그 사람이 이러한 감정을 가지고 지은, 또는 생활한 공간에
희로애락이 묻어나는 건 당연한지 모른다.
건축은 나에게 가장 동떨어진 분야 중 하나다.
대부분의 생활인들도 그럴 것이다.
그나마 책이나 신문에서 접한 건축가 승효상과
그의 대표 철학인 '빈자의 미학',
또는 영화 <말하는 건축가>의 정기용, 르코르뷔지에 정도가
내가 아는 건축에 대한 지식의 전부였다.
얼마 전 읽었던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제주편>에서
제주에 있는 추사 김정희 박물관이 세한도에 나오는 집 모양과 똑같다는 사실,
동네 사람들을 그것을 '감자 창고'라 부른다는 점,
이렇게 불리는 걸 제일 좋아하는 박물관 설계자는
바로 승효상이라는 것 등이 매우 흥미로웠다.
나는 이 책에서도 건축가는 물론 그 건축에 녹아들어간 이야기,
건축이 세상에 하고 있는 이야기,
또 세상과 어울려가는 시간의 흐름을 기대했다.
결론부터 말하면 나의 기대를 충족시킨 책이다.
옛 건물에서부터 현대 건축, 세계 곳곳의 건축을 엿볼 수 있었다.
단순히 남대문이나 불국사와 같은 국보급 옛것이나
에펠탑이나 피사의 사탑 식의 세계적인 것이었다면 흥미가 덜했을지 모른다.
그 역사를 처음 알게 된 건물(타지마할),
흘려 들었던 소소한 공간(대한성공회 서울대성당),
마음으로 친근한 장소(기적의 도서관),
놀랄 만한 뒷이야기를 품은 곳(어린이대공원 꿈마루),
하나하나 쉽게 읽으면서 깊이 느낄 수 있는 내용들이었다.
그리고 문훈발전소와 여성인권박물관, 시기리야 요새 등은
이 책을 통해 처음 만난 공간이다.
승효상과 정기용, 문훈, 이외른 우촌과 같은 건축가들과도
부쩍 가까워진 느낌이다.
건축가는 공간에 자신의, 혹은 대중의 마음을 담는다.
공간은 그곳을 찾는 사람들의 마음을 품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