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영화 한 편 씹어먹어 봤니? - 학력도 스펙도 나이도 필요없는 신왕국의 코어소리영어
신왕국 지음 / 다산4.0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어 자계서? 고등학교 중퇴하고 영어도 전혀 못 했던 지은이가 영어를 하고자 마음먹고 방법을 찾다 독학으로 귀가 트이고 대화도 가능하게 되었다. 6개월에 귀가 트이고 1년 만에 원어민도 인정할 정도. 그리고 미국으로 유학까지 가게 되었고, 본인이 원하는 UC버클리에 다닐 수 있게 되었다.

 

복싱을 했던 지은이는 영어(=언어)가 운동과 같다는 것을 깨우쳤다. 문법과 원리로 머리로 이해하는 것보다는 매일매일 운동해서 근육을 키우듯, 또한 복싱이나, 악기, 수영 등등에 있어서 기술을 머리로 생각하지 않고 몸으로 익히고 훈련해서 자동으로 나오게 만들어 익히듯 그렇게 언어가 익혀지는 것이라는 것을. 즉 지은이가 책에서 말했듯 서술적 기억이 아니라, 절차적 기억으로 몸에 익히는 것이 언어이다.

 

그렇다고 그냥 멍하니 듣기만 해서 되는 것은 아니고 지은이는 듣고 반복하는 너무도 지루할 것 같은 공부를 죽어라 했다. 집중해서 영어만 1년 동안 한 것이 아마 더 큰 효과로 나타났을 것이다. 실제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영어를 공부해 보았자, 잘해야 하루 1시간, 많아야 2시간 하는게 고작일 테니까. 물론 무작정 공부만 한 것이 아니라 어학을 공부하는 기본 원리 체계화해서 잘 깨쳤다고 할 수 있다.

 

학교 다닐 때 시험을 위해 공부하다 보면 정작 듣기는 영어 공부의 10%도 할까 말까였다. 비중이 작았으니까. 문법과 독해가 시험의 90%, 나중에 높아져서 80% 되었고, 실제 토익 공부를 할 때가 돼서야 50%가 되었을 뿐이다. 그런데 실제 영어를 쓸 일이 생기면 정작 듣기가 안되니 말문도 안 떨어지고 영어공부가 소용이 없었던 것이다. 그만큼 듣기가 중요한데 너무가 소홀히 했던 게 아쉽다.

 

비록 외국어 통번역기가 생겼고, 의사소통하는데 편리한 프로그램이 생기겠지만, 그럼에도 기본적인 의사소통을 스스로 할 수 있으면, 외국여행할 때 더없이 편안할 듯하다. 물론 비단 여행뿐만 아니라 누구에게나 또 다른 기회를 얻을 수 있는 열쇠가 될 것임은 틀림없다. 아무리 늦었지만, 시작할 때가 가장 빠른 때라 하니, 지금이라도 해 볼까 하는 의욕을 불러일으키는 책이었다.

 

영어를 잘하려면 절차적 기억을 쌓아야 하고, 절차적 기억을 쌓으려면 실제로 영어를 훈련해야 하고, 실제로 영어를 훈련하려면 영어 듣기부터 해야 한다. - P65

TV 다큐프로그램 KBS 스페셜 <당신이 영어를 못하는 진짜 이유>
EBS 다큐프라임 <한국인과 영어> 4부 <언어의 벽을 넘어서> - P1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