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경제사 - 음식이 만든 인류의 역사
권은중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음식이 만든 인류의 역사

 

어릴 적 학교에서 배웠던 것 중 누구나 다 아는 것이 사람이 살아가는데 가장 필요한 세 가지 였을 것이다. 바로 의, , 주 이다. 그 의식주의 중요성에 대한 발상으로 그중에서 가장 큰 즐거움 이라고 생각 되는 식, 음식에 대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우리가 흔히 보는 음식의 이야기 책이 아닌 음식을 통해서 들여다보는 경제의 이야기이다.

인류 문명의 시작은 농경의 시작과 함께 했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농작물 경작을 위해 물이 충분한 곳에서 정착을 하면서 문명이 시작했다고 말이다. 그 보다 더 자세한 음식의 경제 이야기, 음식의 역사와 경제의 이야기 이다.

밀과 쌀로 보는 서양과 동양의 경제의 역사, 밀을 얻기 위해 경작이 잘 되는 땅을 얻기 위한 로마의 전쟁, 그리스의 민주주의와 보리의 관계, 후추를 얻기 위한 유럽의 식민지 전쟁, 특히 여름을 대표하는 작물인 옥수수의 숨겨진 이야기에서는 재배가 쉬워 인구 증가에 도움이 되 었지만 유전자변형이라는 것과 그로 인해 우리가 먹는 소의 주식이 되어 모두를 병들게 하고 있다는 것 등 말이다.

우리가 흔히 접하는 음식인 쌀, , 옥수수, 보리, 멸치, 맥주, 청어, 설탕과 후추, 소고기, 코카콜라, 그리고 유전자변형농산물. 이렇게 11가지를 통한 경제의 역사이다.

농업을 주로 행했던 아시아에서는 중앙집권적으로 나라를 부흥시켰던 반면 농업이 약했던 유럽에서는 주변국, 또 바다 너머 식민지 개척과 무역이라는 것이 더욱 발달했으며, 시원하게 즐겨 마시기만 했지 누구에 의해,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생각 조차 못했던 맥주의 탄생이 실은 로마 멸망 후 어려워진 유럽의 수도원에서 로마 농업기술을 다시 부활하고 중세교회에서 영주와 귀족, 농노의 상관관계로 인해 남는 농산물 처리를 위한 것이었다니 말이다.

또 그저 소화제로 처음 출시되어 지금의 사랑을 받는 게 콜라 라고만 생각했는데 제1차세계대전 후 피폐해진 유럽에 수출을 하며 부를 쌓은 물질 풍요 시대의 아이콘 이라는 사실도 있다.

경제학적으로 빅맥지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맥도날드와 경제는 뗄 수 없는 관계라는 건 누구나 알고 있다.

그저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원으로의 음식이 아닌 음식을 통한 각 나라의 흥망에 관한 이야기라는 것이다.

과거보다 현재 음식의 종류가 많아지고 관심이 높아진 만큼 더 음식과 경제의 상관관계는 더욱 많아질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