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없이는 존재하지 않는 세상 - 카를로 로벨리의 기묘하고 아름다운 양자 물리학
카를로 로벨리 지음, 김정훈 옮김, 이중원 감수 / 쌤앤파커스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우리가 사는 이 세상은 양자역학으로 이루어져 있다. 수십번 읽고 들어도 이해하는데 어려운 양자 물리학이 한 치의 어긋남도 없는 과학적인 사실이라는 점이 더 놀랍다. 상식을 뛰어넘는 양자 이론이지만 이 책의 저자 카를로 로벨리는 가능한 한 명확하게 설명하려고 노력했고 양자역학을 이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보다는 양자역학을 이해하기가 왜 그렇게 어려운지를 설명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고 했는데 맞는 것 같다. 일단 카를로 로벨리의 양자 역학적인 설명은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고 여러 가지 예시를 사용하였지만, 이야기는 이해하기 쉬우나 양자 이론과의 관련성을 넘어 양자역학 자체라는 사실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만든다.

이탈리아 태생의 세계적인 이론 물리학자이자 블랙홀을 새롭게 규명한 우주론의 대가로 제2의 스티븐 호킹이라고 평가받는 카를로 로벨리는 우리에게도 유명한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의 저자이기도 하다.

양자역학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말이 물질의 최소 단위인 원자이다 말고는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는다. 스물세 살의 한 독일 청년이 바람이 많이 부는 북해의 외딴섬에서 난해한 양자역학의 수학적 구조인 양자론을 구축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얻었는데 그가 바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이다. 이 책에 의하면 그는 포기할 건 포기하고 우리가 관찰할 수 있는 것인 전자가 방출하는 빛의 강도와 진동수만 기술하고 모든 것을 오직 관찰할 수 있는 양에 근거해서만 설명하자는 발상을 구축한다. 그러나 베르너 하이젠베르크는 우리가 보지 않을 때 물질 입자가 어디에 있는지는 생략한 체 그저 우리가 그 입자를 관찰하면 그 입자를 어떤 지점에서 찾을 확률이 얼마나 되는지를 말해줄 뿐이다. 보면 보는 거고, 안보면 안 보는 거지, 저자 말대로 무슨 상관이냐는 말이 나도 모르게 나왔다.

“현상이 모습을 드러낼 상대가 없으면 현상에 대한 명료한 기술은 없다.”

극단적인 아이디어를 모은 기묘한 동물 화집을 소개하면서 저마다의 방식으로 양자 현상을 이해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그림에서도 충분히 느껴졌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