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이 불안을 말한다 - 몸으로 드러나는 마음의 징후에 귀 기울이고 대처하는 법
엘런 보라 지음, 신유희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3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안은 심리적인 요인 때문에 병이 아닌 성격 탓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사회 불안는 다른 사람 앞에서 자신 있게 말도 못 하고 사람 만나기를 꺼리기에 소심한 성격 탓이라 생각한다. 또 범불안는 예민한 사람으로, 강박증 환자는 꼼꼼한 성격으로 간주한다. 그러나 불안은 성격이 아니라 뇌의 특정 부위가 과도하게 활성화되거나 덜 활성화됨으로써 생기는 병이다.

오늘날과 같이 다방면의 빠른 성장은 스트레스 지수를 높여 불안장애의 발병 원인이 되기도 한다. 코로나19는 합리적인 불안을 넘어 과도한 공포심을 느끼게 하기도 했다. 각종 미디어가 발달하면서 거짓 소식과 장면이 즉각적으로 우리 뇌를 자극한다는 사실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엘런 보라는 미국 뉴욕에서 활동하고 있는 홀리스틱 정신건강의학과 의사이며 침술사이자 요가 강사이기도 하다. 불안이 단순히 마음의 문제가 아니라 몸 전체의 문제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으며 실제 임상 경험을 통해 불안이 신체 내 불균형에서 비롯된 사례를 반복적으로 확인했다. 신체 균형이 깨져서 생기는 ‘가짜 불안’을 바로 대처하는 다양한 실천 방안을 가르쳐 줌으로써 스스로 잘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 길을 전하고 있다.

인간의 불안이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더 예방 가능한 문제이며 식단과 생활 방식의 비교적 간단한 변화를 주기만 해도 불필요한 스트레스반응을 피하고 불안을 중간에 저지할 수 있다고 한다. 단순히 신체적 문제가 아닌 좀 더 깊은 불안의 막연한 두려움은 쉽게 다스릴 수 없으나 신체적 원인이 만든 첫 번째 불안을 다스리고 나면, 깊은 고통에 다가가는 길도 훨씬 선명해진다는 것을 엘런 보라는 여러 환자를 통해 확인했다. 이 책에는 가짜 불안을 알아내고 다루는 법과 진짜 불안을 경청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법으로 불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현실적이고 실천 가능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어쨌든 아직도 정신적 괴로움보다는 신체적 아픔으로 관심을 받는 편이 덜 불편하고 손가락질도 덜 받기 때문이다. 이 경우에는 신체적 증상이 ‘그저 불안’으로 무시되고 있다기보다는 정신적 고통이 신체적 질병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이해해야 한다.”

불안이 전하려는 메시지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내 몸과 삶에서 균형이 깨진 부분을 살피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함을 잊지 말아야겠다.

출판사를 통해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