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보다 Vol. 1 얼음 SF 보다 1
곽재식 외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제본 서평단에 신청하여, SF보다 얼음의 가제본을 받아 읽었는데, 표지 이미지와 비평을 읽고 싶어서라도 다시금 책을 구매해서 읽게 될 것 같다.
*보다 시리즈가 좀 더 다양한 분야로 스펙트럼을 넓혀가고 있는 게 반갑다.

날카롭게 벼려진 얼음으로 폐부를 찌르는 듯한 차가운 이야기부터, 시리지만 몸을 던지고 싶은 포근함을 가진 이야기까지. SF 보다 얼음을 이루고 있는 스토리들은 ‘얼음’이라는 한 주제를 다양하게 보여준다.

가장 오랜 여운을 준 소설은 구병모 작가의 <채빙>이다. 사한과 현명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신처럼 숭배되는 존재가 ‘얼음새꽃’을 가져오는 한 사람으로 인해 눈시울이 뜨거워지기도 분노를 느끼기도 하지만, 어느 것도 할 수 없이 얼음 속에 파묻혀 있는 모습을 상상해보면 나까지도 그 기한 없음과 상실감에 머리가 차갑게 얼어붙는 기분이다. 이미 한차례 문명이 지나간 듯한 세계부터 다시 알법한 세계가 도래하는 시간까지, 시간대의 흐름 또한 매력적이다.

가장 날카롭게 무서운 얼음의 모양을 가진 소설은 남유하 작가의 <얼음을 씹다>였다. “인간은 다른 이의 살을 영양분으로 섭취하여 생존해야 할 만큼 고귀한 존재가 아니다.”는 소설 속 문장과 죽은 인간을 ‘식량’으로 취급하는 것이 당연한 세계관을 보고 있노라면, 이 소설이 인간의 존재 자체에 대한 날카로운 질문을 던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소중했던 사람의 죽음이 슬픔이 아닌 식량이 생기는 데에 대한 반가움으로 다가온다니... 생각만해도 뒷목이 서늘하다. 딸의 시신을 지키고자 한 유리아에게 내려지는 처벌 또한 잔인하다. 처벌의 방법을 보면, 다시금 인간은 정말로 잔인하게 느껴진다. 한편, ‘다른 이의 살’이라는 표현이 인간이 아닌 다른 존재라고 생각해보자면, 생각하게 되는 것이 더 많아진다. 다른 동물의 살을 영양분으로 섭취하여 생존하고 있는 것이 당연한 지금. 그것이 정말 당연히 그래야 하는 것일까?

위 소설들을 제외하고도 곽재식 작가의 <얼어붙은 이야기>나 <귓속의 세입자>처럼 다소 가볍고, 또 그나마 현대 사회와 맞닿아 있는 듯한 얼음 이야기도 나름 즐겁게 읽었다. 다른 이야기들처럼 시리고 차가운 이미지는 적었던 것 같긴 하지만, 모든 얼음이 다 같은 온도를 가졌다면 읽는 즐거움이 덜했을 것 같다. 시린 세상 속 따뜻함마저 느끼게 하는 인물이 나오는 <차가운 파수꾼>을 읽으면서는 노이 같기도 이제트 같기도 한 누군가를 떠올리게 된다. 처음 보는 존재를 통해 위로를 얻는 <온조를 위한>을 읽으면서 우리는 때로 설령 그 존재들과 명확한 의사소통을 하지 못하더라도 어떤 존재들을 통해, 위로를 받기도 한다는 사실들이 마음에 와 닿았다.

SF 보다 얼음의 이야기들은 전부 각기 다른 사람 또는 존재와의 부딪힘을 통해 얼음이 깨어지기도, 다시 꽁꽁 얼어붙기도 한다. 그 모든 얼음의 시리고, 날카롭고, 다양한 변화들을 더 많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