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기 전까지 병원 갈 일 없는 스트레칭 - 일생 중 가장 긴 노년, 반짝하는 ‘예쁜’ 몸이 능사가 아니다, 오래 쓰는 몸을 만들어라, 최신 개정판
제시카 매튜스 지음, 박서령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을 내 꾸준히 운동을 하며 내 몸의 건강을 가꾸는 것이 중요하고 이미 머리론 잘 알고 있지만, 운동이 맞지 않고 마냥 어렵기만 한 사람도 있잖아요? 특히 제 경우는 아직 습관화 되지 않은 운동으로 일상이 뻐근함과 뭉친 근육으로 피곤함이 누적되고 있습니다 ㅋㅋ 늘 들어온 말로는 매일매일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는 것만으로도 아플일이 없고 근육이 뭉쳐 피로함이 오는 것도 막을 수 있다는 말이었는데요. 이번 기회를 통해 최강의 운동, 스트레칭을 따라해 보았습니다.


기본적으로 스트레칭이 왜 중요하며 잘못된 오해와 기본 상식 그리고 왜 스트레칭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알려주고 운동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통증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근력을 더 강하게 만들고 신체의 기능적인 부분을 지금보다 더 나아지게 해줄 수 있다는 것이 요인데요. 나아가 우울증까지 덜하게 만들어줄 수도 있다는 점에서 예방차원에서라도 꾸준히 몇가지 동작이라도 따라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필라테스나 요가, PT 등에서 운동을 시작하기 전 항상 스트레칭으로 시작하곤 했는데 거기에서 알려 준 기본 스트레칭 동작이 전부 들어 있었습니다. 손목 구부려 잡아당기기나 벽에 팔 대고 늘리기, 발목 돌려 원그리기 등 배운 동작들은 정확히 한 번씩 더 알고 따라할 수 있었어요.


신체 부위별 스트레칭을 보면 2페이지에 걸쳐 설명과 그림으로 특히 뭉쳐 있는 부분에 대해 부위별로 골라가며 따라할 수 있어 편했습니다. 특히 팔꿈치 열어 고개 숙이기는 그림에 보이는 화살표 방향대로 따라하니 너무 시원했어요. 가장 인상적인 동작이었습니다. 하루 30분 스트레칭 프로그램이 한 쳅터로 있었는데, 직장인을 위한 사무실 스트레칭이나 TV 보며 짬짬이 하는 스트레칭은 따라하기 좋았습니다.


사무실에서 일하는 것만으로도 스트레스가 올라올 때가 많은데 무슨 스트레칭이냐 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습관이 중요하니 몇 동작씩 따라하는 것만으로도 훨씬 뻐근함이 덜하니 귀찮아하지 말고 바로 따라해보았습니다. 마찬가지로 TV를 볼 때도 침대나 쇼파와 이미 한 몸이라 꼼짝도 하기 싫은데 한 두 동작을 따라하기만 해도 훨씬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고 해요 ㅎㅎ 동작만 보면 8-10가지 정도 되는데 다른 사람을 위한 것도 아닌 나를 위한 돈 안드는 운동이니 열심히 따라해보면서 내 몸에 맞는 스트레칭으로 루틴을 만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