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파이썬 넘파이 - 딥러닝 머신러닝을 위한
문용준.문성혁 지음 / 잇플ITPLE / 2020년 6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딥러닝은 컴퓨터가 마치 사람처럼 생각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고, 머신러닝은 컴퓨터에 데이터를 줘서 학습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지식을 얻어내게 하는 분야를 말하는데요. 이 딥러닝 기술을 실제로 구현할 때, 파이썬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해요. 파이썬은 인공지능 분야의 스크립트 개발언어로 다양한 곳에서 사용하는 언어인데,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모듈 중 넘파이 모듈은 데이터 분석 등에 사용하는 특정한 파이썬 모듈로 데이터 분석을 위한 방식을 수용해서 일반적인 파이썬과 차이점이 있다고 해요. 이 책은 넘파이 특징을 알아보고 파이썬 기본 문법과의 연계하는 처리방식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넘파이 모듈이 수학의 선형대수를 기반으로 만든 파이썬 모듈이기 때문에, 선형대수 개념인 벡터와 행렬을 알아야 다차원 배열에서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 수 있어요. 목차 먼저 보실까요?
저자 문용준은 SK 주식회사 C&C에 재직중이며, 공동저자 문성혁은 아토큐브 주식회사 CTO에요.이 책은 머신러닝과 딥러닝에서 사용할 수 있는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데요. 넘파이 모듈의 배열 개념을 이해하고, 배열 내의 원소를 계산하는 선형대수 처리 방식, 수치해석을 위한 미분, 적분 등 다양한 수학을 처리는 방식에 대해 자세히 나와 있는데요. 이런 방식을 이해하려면 다양한 함수, 클래스의 사용법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수학책을 보면서 같이 공부하라고 권하고 있어요.
예제 위주의 설명으로 기초부터 고급까지 코드를 따라가면서 볼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어요. 구글이 만든 텐서플로우, 페이스북이 만든 파이토치 등 많은 머신러닝과 딥러닝은 기하와 벡터를 기본으로 사용하는데, 대학에서 선형대수로 배우고 파이썬은 복잡한 수식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넘파이 모듈을 제공하는 거라고 해요. 선형대수와 달리 머신러닝, 딥러닝에서는 텐서tensor을 사용하기 때문에 다차원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선 숫자를 관리하는 배열 형태의 자료구조를 알아야 해요. 이를 통해, 배열 내의 원소를 계산하는 선형대수 처리방식, 수치해석을 위한 미분, 적분 등 다양한 수학을 처리하는 방식이 나와 있어요.
넘파이 모듈은 인공지능의 기초이기 때문에 넘파이 모둘에 대해 평소 관심이 있었던 분들은 기초부터 따라하면서 이 책에 나와 있는 함수들을 한 번씩 사용해보면 코드를 읽을 수 있으니 도전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