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2대 8로 돌아가고 돈은 긴꼬리가 만든다 - 80개의 법칙으로 다시 배우는 재미있는 경제학
황샤오린.황멍시 지음, 정영선 옮김 / 더숲 / 2011년 8월
평점 :
품절





type=text/javascript>// document.write(removeRestrictTag());
//]]>

2대8의 법칙은 늘 부의 불평등과 세상을 지배하는 돈의 법칙에 대해 이야기 할때 나오고 있다.

아흔아홉 마리의 양을 가진이가 한마리 양을 가진 이의 것을 빼앗아 백마리를 채워 더욱

많은 양을 가지게 되듯 우리 사회의 심화된 불균형은 과연 바뀔 수 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

책속에서 찾아내는 숨겨진 경제원리를 읽으라고 하는데

1장에서 11장까지 총 80개의 법칙과 효과 이야기로 만들어진 재미있는 경제학 책이다.

경제학이라고 생각하고 읽지 않고 여러가지 효과들을 읽다 보면

재미있게 읽을 수 있게 씌여져 있다.

맹목적으로 우두머리 양을 따라가지 말라는 양떼효과 이야기에서

양떼가 지나가는 길목에 나무를 가로로 눕혀 놓고 첫 번째 양이 뛰어 넘으며

두번째 세번째 양도 뛰어 넘는데 나무를 치워도 뒤따르던 양들은 앞선 양처럼

폴짝 뛰어 간다고 한다. 인간의 맹목적인 추종심리를 상징적으로 비유하는것이라고 하는데

어딘가에 사람들이 몰려 있으면 왜일까 하면서 관심을 가졌던 것을 생각해보니

나도 뒤따르는 양의 무리중 하나이며

명품가방을 사기 위해 무리한 일도 마다하지 않은 이들의 심리가 그와 같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더큰 손해를 막기위해 작은 손해를 감수하라는 악어의 법칙은

작은 것에 연연하다 종종 더 큰것을 잃는 것들에 대해 쉽게 이해가 되었다.

덮개가 있는 유리컵에 벼룩을 넣으면 힘껏 뛰지만 밖으로 나올수가 없다.

그 후 덮개를 치워도 벼룩은 뛰어 나오지 않는다고 한다.

점프능력을 상실한 것도 아니지만

한두 번 좌절을 겪으면서 무뎌진 습관이기 때문에

스스로 한계를 정하지 말라는 말은 오늘의 나를 돌아보게 만든다.

실패와 좌절을 겪었던 기억을 가지고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여기까지라면 늘 미리 담을 만들었던 나의 모습을 보니

개인의 성장은 자신을 상황을 깨닫는 데 있다는 작가의 말처럼  타파하고 싶게 만든다.

불완전한 정보의 바다에서 살아남고 경쟁속에서도 협력하며 사고의 관성을 깨고

경제학 역시 우리의 일상속에 소소한 행복과 함께 하기 때문에 평소 누리는

작은 것에 감사하고 행복하다면 많은 것을 이룬 것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