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타샤
조지수 지음 / 베아르피 / 200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출판사 : 베아르피

지은이 : 조지수 (십수권의 책을 저술했으나 이 소설에서는 필명을 사용하였다.

             현재 벤쿠버 아일랜드의 외진 곳에서 차기 작품에 몰두하고 있다고 소개되고 있다)

 

600쪽이 넘는 페이지에 가득한 사랑 이야기를 읽었다.

초반은 조금 지루함으로, 그러나 조금 읽다 보면 눈을 반짝이게 될 것이다.

햇살을 받은 강물의 반짝임을 생각나게 하는 유려한 단어들과 철학입문서 같은 대화들은

범상치 않은 사랑이야기임을 눈치채게 하고 있다.

한국인으로 캐나다에 유학, 공부하고 미술사 교수가 된 한 평범했던 남자와

우크라이나에서 정치적 탄압을 피하여 난민으로 캐나다에 발을 디딘 한 여자의 이야기를

길게 한숨지으며 읽어 나갔다.

깊은 고독속의 남자 조지, 그 고독했던 한 남자와 역시 고독한 한 여자의

우연한 만남이 그들의  운명을 어떻게 결정지어내게 되는지를 보면서.

사랑이란 우연인지 필연인지, 때론 우연이라고 때론 필연이라고 말한다.

긴 세월이 지나 조지의 아픔에 관한 파편들은 그가 사랑하고 아꼈던 친구들과

그의 불멸의 연인 나스타샤에 관한 사랑의 기억과 함께 회상되어 서술되고 있다.

 

이방인인 이민자들이 타국에서 겪는 일들은 생생한 현실감으로 보여주며

10년을 타국에서 살아온 조지가 가지는 조국에 대한 자부심은,

현재의 현실에서 자긍심을 가지지 못하는 나와 대비되었다.

캐나다의 아름다운 호숫가와 계곡에서 펼쳐지는 조지의 친구 그렉과의

송어낚시와 플라잉낚시 이야기, 야외 캠핑이야기는 환상속으로 인도하며

미지의 세계를 함께 상상하고 함께 텐트를 치고 함께 낚시를 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사랑은 과연 무엇인지를 곱씹게 되는 소설이다.

사랑을 하게 될때 인간은 어떤 감정이 가장 먼저 작동하게 될까.

그 감정들이 작용하여 자신의 안위보다 상대를 위해,무조건적인 헌신을 하도록 작용할 수 있을까.

 

안타까웠다.

영혼을 내어 맡길 수 있는 사랑은 결코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일까.

나스타샤는 결코 죽음으로만 그리움을 이겨낼 수 있었을까?

죽음보다 더 사랑했다면 그들은 함께 했어야 마땅하지 않을까.

가끔 사람이 보고 싶으면, 보고 싶어서 죽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보기도 했었다.

그러나 역시 너무 과장된 나의 의식이 아닐까 의심해 보기도 했었다.

그런데 나의 눈앞에  그리움을 죽음으로 대신한 나스타샤가 나타났다.

조지는 말했었다.

"나스타샤, 보고 싶어서 죽은 사람 이야기는 들어본 적이 없어."

긴 그들의 이야기는 깊은 애절함이 배어 나와

긴 여운으로 한동안 내게 남아 있을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