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인열전 - 파격과 열정이 살아 숨쉬는 조선의 뒷골목 히스토리
이수광 지음 / 바우하우스 / 2008년 5월
평점 :
품절


손에 쥐자마자 눈에 들어왔던 언발란스한 표지 디자인.
구수한 황토색 표지와 현란한 핑크색 띠지가 따로 논다.
옛날 이야기를 하되 똥꼬발랄(?)한 이야기를 하고 싶다 이건가? 

실제로 그러했다. 유명한 서민들의 이야기라길래 조선시대판 '생활의 달인'을 생각했지만, 실상은 '세상에 이런일이' 에 나올만한 기인들의 이야기가 나를 참 난감하게 했다.


기생과 악단을 불러 잔치를 열정도로 세가 컸던 거지왕 개수

술이 너무 마시고 싶어서 국화 8개를 방으로 들여 주거니 받거니, 대작했다는 신용개

장원급제부터 2등,3등까지 모두 한 사람의 작품이었을 정도로 글을 잘썼던 대리시험자 유광억

책을 판 돈으로 하루 3끼 밥대신 술만 마셔 신선이 되었다는 조생

아들이 없는 집에 찾아가 대신 씨를 뿌려주고 돈을 받아올 정도로 정력이 셌던 김생

그리고, 영화로도 만들어져 미친 천재화가의 대명사가 되버린 장승업

 
이 외에도 여럿이 있어, 모두 24인의 기인들에 대한 이야기가 언급되어 있다.
진짜같기도 하고, 그럴 듯 해보이기도 하고, 어쩔 때는 너무 허무맹랑해서 헛웃음이 나오기도 하지만, 읽다보면 재미있고, 기분을 유쾌하게 만들어준다.
역사적 진실을 찾으려 하거나 정확한 근거자료를 궁금해 하면서 진지하게 읽기보다는
'아, 이런 사람들이 있었구나, 이 때도 지금과 다를 게 없이 사람 사는 세상이었구나,

이들의 행동으로 보아 그 시절의 분위기는 이러했구나' 이렇게 흐름과 분위기를 느끼는 게 중요한 듯 하다. 고맙게도, 이야기마다 그에 어울리는 선한 옛그림들이 삽입되어 있어 우리의 상상을 도와준다.  

옛날 왕들, 양반들 이야기만 나오는 사극을 볼 때는 지금으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판이한 사고를 가진 사람들만 모인 시절같더니, 이 책을 읽고 나서는 그 옛날들이 더욱 가깝게 느껴진다. 하긴, 우리네 역사고, 우리네 사람들인데 크게 다를게 있을까. 

끝으로 마지막 마당에 나오는 '검녀'를 읽고서는 한참 웃었다. 우리도 이런 이야기가 만들어졌었구나. 개인적으로 무협지를 좋아해서 한참 푹 빠진 적이 있었는데, 무협지들의 배경은 항상 중국이어서 조선시대 설화 중에 이런 것이 있었다니 놀라울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