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에 미친 바보 - 이덕무 산문집, 개정판
이덕무 지음, 권정원 옮김, 김영진 그림 / 미다스북스 / 200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이덕무. 그는 조선 후기 실학자로 박지원, 박제가, 유득공과 교우했고 북학파 실학자 중에서 가장 많은 저술을 남긴 대학자이며, 뛰어난 문장가이다. 이 책을 통해 그와 처음 만났지만, 그의 글은 단번에 나를 사로 잡아버렸다. 멘토발견!! 나는 오늘 정말  멘토로 삼고싶은 사람을 발견했다! 세상엔 인격적으로 훌륭한 사람,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 위대한 학자등 훌륭한 사람들이 많지만 지금 내가 처해있는 환경에서 이 만한 스승님은 찾아보기 힘들 것 같다. 삶은 배움의 연속이 아니던가! 지금 학업에 임하고 있는 자나 평생교육이라는 말처럼 생의 길을 아직 걷고 있는 사람이라면 "책에 미친 바보"이덕무 선생님의 글을 꼭 한번쯤 읽어볼 일이다.

  몽우 김영진의 그림을 곳곳에 배치해 더욱 멋들어진 이 책은 연암 박지원의 "내가 본 이덕무"라는 글을 책머리에 싣고, 총 6개의 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자화상"에는 이덕무가 자기자신에 대해 스스로 쓴 글들이 모여있고, "내가 책을 읽는 이유"에는 책에 미친 바보라는 별칭을 있게한 그의 독서생활에 대한 글들을, "문장과 학풍에 대하여"에는 그의 문학관과 학문적 성격에 대한 글들이 담겨있다. "벗, 그리고 벗들과의 대화"에는 이덕무의 벗을 대하는 태도와 나이를 초월한 그의 벗들과의 사적인 편지들이 들어있어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볼 수 있다. "군자와 선비의 도리"에서는 군자와 선비의 도리에 대한 이덕무의 생각과 실제로 자신의 생각과 일치되게 살려하는 그의 삶의 태도가, "자연과 벗을 삼아"에는 엄선된 그의 산문들이 들어있다.  부록에는 한자로 된 원문까지 실려있어 한자를 좀 한다 싶으면 원문으로 읽어도 좋을 듯 하다.

 이덕무를 스승으로 삼아 배우고 싶은 것은 첫째, 늘 스스로를 경계했던 그의 삶의 태도이다.  "도란 일상생활 가운데 지극히 얕고 가까운 것에 있다. 집안에 물을 뿌리고 깨끗이 쓸며 말을 따라 대답하는 것만큼 얕은 것이 없고, 부모를 사랑하고 어른을 공경하는 일보다 가까운 것은 없다." 라고 말하는 그의 글 앞에 부끄러움을 금할 수 없다. 무조건 높은 이상만을 추구하며 가장 가까운 것, 집안 청소하나 제대로 못하면서 무슨 큰일을 하겠다고 그토록 설쳐댔는지...... 공부를 한답시고 집안일은 하나도 돌보지 않는 나의 생활태도를 깊이 반성하며 "간결함으로 번거로움을 누르고 고요함으로 흔들림을 막을 수 있다. 그러므로 군자는 말이 간결하고 마음이 안정된 사람이다. 옛사람을 배울 때에는 오직 실천하는 것을 최선의 공부로 삼아야 한다."라며 이덕무가 일러준 "마음을 바로잡는 공부"를 평생 마음에 새기고 학업에 임해야 겠다.

 둘째는, 그의 유머감각이다. 개콘보다 더 재밌는, 문장 속에 녹아있는 유머들 때문에 마음이 즐거워 진다. '까치가 집을 짓기에'에서 나무꼭대기에 집을 짓던 까치가 절반쯤 만들고는 돌아오지 않자 상량문을 지어주라던 외삼촌의 말에 따라 상량문을 짓는 이덕무. 상량문은 집을 지을때, 서까래를 올리며 짓는 글인데 이덕무는 까치집을 위해 상량문을 지어준 것이다. 그것도 장장 2장에 걸친 긴긴 상량문을..... 까치를 위해 상량문을 짓는 다는것 차체도 너무 재밌는데 그 내용면에서도 박학다식한 그의 지식을 이용하여 까치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을 포함하여 멋진 상량문을 만들어 낸다. 나는 평소에 있는지 없는지 관심조차 없는 앞마당의 까치를 위해 상량문까지 지어주는 그의 여유와 유머, 뛰어난 지식 뭐하나 배우지 않을 것이 없다.

 셋째는, 그가 벗삼은 것이다. "만약 나를 알아주는 한 사람의 벗을 얻는다면, 나는 망설임 없이 10년 동안 뽕나무를 심고 1년 동안 누에를 길러 손수 오색실을 물들일 것이다." 그 실로 금침바늘을 이용하여 벗의 얼굴을 수놓아 험준한 산과 물이 있는곳에 펼쳐놓고 말없이 바라보다 해가 저물면 품에 안고 돌아오겠다는 이덕무. 그러면서도 벗이 없다고 한탄하지말고 책과 함께 놀닐고, 자연물들 즉 구름, 노을, 귀뚜라미, 회화나무등도 좋은 벗이 될 수 있다고 말하는 이사람 앞에서 공부라는 것은 지독한 외로움과의 싸움이었노라고 그 누가 말할 수 있겠는가! 그런 이덕무도 벗삼지 않는 것이 있으니 바로 바둑과 소설이다. 바둑의 실효성 없음과 소설의 허구성을 이유로 이 둘을 배척하는 이덕무의 태도에서 시간과 가산을 낭비하는 것을 싫어하고 진정성을 귀중하게 생각하는 그의 가치관을 엿볼 수 있다.  바둑, 화투, 장기 이런 놀이들을 좋아하는 나지만 이제 이런 벗들과의 사귐을 조금씩 줄여나가고, 이덕무스승님처럼 책에 미친 바보가 되어 볼란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