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워낭소리 - Old Partner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워낭소리라는게  경상도 사투린가 순수한 우리말일까?   내게는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단어였다.  

 어렸을 때 소 목에 다는 놋쇠로 만든 작은 흔들이 종을 전라도 사투리로는 핑경이라 했다. 소는 가난한 농촌의 살아 움직이는 재산목록 1호였다. 소 한 마리면 텃밭까지 딸린 웬만한 초가집이나 논밭 몇마지기도 살 수 있고 아들딸 중고등학교 학비나 대학 등록금까지도 낼 수 있고 결혼도 시킬 수 있었다.  이렇게 값비싼 소를 도둑맞는 경우는 거의 없었지만 혹시나 하여 항상 불안해했다. 그래서 목에 놋쇠 핑경을 단 것이다.  어른들은 옛날 옛날에 깊은 밤중에 소도둑놈이 가만히 들어와 핑경속에 지푸라기를 집어넣어 소리가 안나게 하고는 몰래 소를 끌어갔다는 이야기들을 나누곤 했다.

 옛날에 날마다 일상으로 듣고서는 그저 잊었던 칭그렁 칭그렁 해맑은 핑경 소리가  산골짜기의 시냇물 줄기처럼 영화 내내 온 몸으로 흘러들었다.   

소리만으로도 저렇게 마음을 뽀드득 뽀드득 씻어낼수 있었구나! 하는 홀가분함이 심장에서 살같의 모세혈관에까지 저릿저릿 전기 찜질처럼 퍼져 돌았다.  

소와 노인은 한 마음이고 한 몸인듯 싶었다. 할머니는 항상 투덜투덜 따로 도는듯 보였지만... 

노인과 소가 함께 늙어감의 절절함으로 보아 소가 살아 있기에 노인도 살아 있고 노인이 살아 있기에 소 또한 살아 있어 보였다. 그런데 소가 죽었다. 포크레인이 얼러덩 뚱땅 덩그렇게 멋대가리 없는 소 무덤을 만들었다.  그런데 노인은 죽지 않았다. 그 무덤 앞에  허허로이 앉아 있었다.  마른 풀대처럼 작은 바람에라도 후루루 날려 사라질듯 보였는데 아직 한 줌 남은 힘으로 숨을 쉬고 있었다. 소는 죽고 노인은 살아 남았다. 씁쓰레한 배신감을 느꼈다.   

영화를 본 두어주 뒤에 일간 신문에 그 노인의 사진이 났다.  영화에서와 똑같이 노인은 또다른 소가 끄는 달구지를 타고 그 소무덤이 있는 밭을 일구며  어수선한 집까지의 길을 오가고 있었다. 아마도 죽은 소가 낳은 새끼이지 싶었다. 어미소가 40살에 죽었으니 대를 이어 충성하는 새끼소도 보통 소들의 환갑이라는 20살은 족히 넘었을 것이다. 두 배로 씁쓰레한 배신감과 더불어 푸훗 미소가 떠올랐다.  

저 노인양반은 한도 끝도 없이 사실랑갑네 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 개정판
유세비우스 팜플루스 지음 / 은성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초기 기독교의 중요한 사료.... 오 탈자가 너무 많아 흠이군요. 개정판은 나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성경으로 본 메소포타미아 고대제국
김환철 지음 / 솔로몬 / 2002년 9월
평점 :
품절


제목만으로는 얼른 감이 안옵니다. 저 같았으면 <구약 성경  배경사 -  고대 메소포타미아 제국들의 역사>라고 제목을 붙였을 것 같습니다.

구약성경을 문자적으로만 이해하지 않고 역사 속에서 이해하려면 고대 메소포타미아 제국들의 역사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러나 목사님들의 설교나 교회의 성경공부 교재에서는 극히 단편적인 이야기들만 들을 수 있습니다. 구약 성경을 꽤 깊이 다루는 책들에서도 만족스럽지 못하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 책은구약성경에 언급되는  메소포타미아의 각 민족과 제국들의 역사를 간략하면서도 구약성경의 내용들과 짝짓듯이 연관지어서 보여 줍니다. 어떤 저자라도 메소포타미아의 전 역사를 한꺼번에 통합하여 보여주기는 매우 어려울 것입니다. 각 나라들이 오래 전부터 군소국가로 숨죽이고 있다가 나중에는 위대한 지도자가 시대의 기회를 틈타 대 제국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이 책에 나오는 바벨로니아. 앗시리아, 아람, 페르시아, 히타이트, 블레셋 등의 역사를 몇 차레 읽으면 구약 배경사의 종합적인 흐름과 내용이 시야에 들어오게 됩니다.

지금까지 국내 저자는 물론 외국 저자들의 번역서중에서도 이만한 내용의 구약 고대 배경사는 거의 없었습니다. 구약 성경을 연구하는 학자나 목사, 성경에 관심이 있는 누구든지 꼭 읽고 이해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언자들
아브라함 J. 헤셸 지음, 이현주 옮김 / 삼인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내용은 좋다. 각주를 각 페이지에 꼼꼼히 편집해 주었으면 읽기에 더 좋았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독약의 세계사
시부사와 타츠히코 지음, 오근영 옮김 / 가람기획 / 2003년 11월
평점 :
품절


세계사라는 이름에 너무 안 어울립니다.

내용이 떠도는 소문을 끌어다 모아놓은 듯한 수준입니다.

역사가의 안목은 거의 없습니다.

책 제목과 거의 안어울리는 책입니다.

이런 책을 왜 번역까지 해서 내놨는지 잘 이해가 안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