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이 바다를 건넌 날 - 한국과 일본, 라면에 사활을 건 두 남자 이야기
무라야마 도시오 지음, 김윤희 옮김 / 21세기북스 / 2015년 8월
평점 :
품절


 나라면 이 책의 제목을 좀 더 간단하게 붙일 것 같다. '라면의 역사'라고. 이 책은 라면의 태동부터 한국에 전해지기까지의 과정을 핵심 인물들을 중심으로 흥미진진하게 보여준다.


 오쿠이가 건면을 만들기까지의 시행착오를 읽었다. 처음 도전하는 분야였기 때문에 어떤 사전 지식도 얻을 수 없었고, 상식적인 시도(면을 밖에 널어 건조시키기)부터 시작할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비가 올 때마다 생산량은 불규칙할 수 밖에 없었다. 그렇다고 고열로 단숨에 말리자니 갈라질테고, 석유난로를 손으로 수십차례 크고 끄면서 실내에서도 건면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모처럼 기분 좋게 건면을 출하했더니, 팔리기는 커녕 반품만 반복되는거다. 겉보기엔 아무렇지 않아보였던 건면이 끓이는 순간 석유 난로의 역겨운 기름냄새를 풍기기 시작했다. 모두들 전력으로 밤낮없이 노력했기 때문에 더 깊은 좌절으로 빠져들었다. 그러나, 야하라의 낙관적인 발언에 다시 힘을 얻어 다시 연구를 시작하고 최초의 제면기, 최초의 자동건조기를 마침내 만들어 낸다. 이 역시 수없이 시행착오를 거두었지만, 마침내 상용화에 성공, 묘조 식품은 건면업계 1위를 달리게 된다.


 한편 같은 시기 우리나라는 한국전쟁의 후유증인 가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일본이 한국전쟁 특수로 살아난 것 과는 반대의 양상이었다. 이 때 기업가였던 전중윤은 담배꽁초와 단추가 떠다니는 꿀꿀이죽을 먹기위해 100미터가 넘는 줄을 선 동포들을 보고 먹을게 없는 현실을 깨닫는다. 그리고 일본에서 먹었던 라면을 떠올리는데, 당시 한국에는 미국에서 무상지원된 잉여 밀들이 쌓여 있었지만 빵에 익숙하지 않은 식문화 때문에 제대로 활용되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서 전중윤은 라면의 국산화에 도전하게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사업의 구상을 했다고 바로 결과가 나오는 건 아니었다. 한국전쟁 특수로 어느정도 활력을 되찾은 일본이 보기에 한국은 매력적인 시장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기반시설도 아무것도 없는데 소비력도 약하니 누가 관심을 가질까. 하지만 전중윤은 묘조 식품의 오쿠이를 만나게 된다. 그리고 그 둘은 손을 잡게되면서 본문은 끝난다.


 에필로그에서 이후 오쿠이의 적극적인 기술제휴와 정부의 분식장려운동으로 삼양이 승승장구하는 모습과 80년대말 우지파동으로 추락하는 모습 등이 요약되어 있다.


 지금 우리는 라면이 더이상 절실하지 않은(기초적 의식주의 관점에서) 풍요로운 시대에 살고 있다. 하지만, 라면이 왜 태어났는 지 그리고 그 탄생과정에서 국민들의 먹거리를 생각했던 사람들은 없었는 지, 그리고 그런 사람들을 도와준 일본인들은 없었는 지를 이 책을 보면서 생각할 수 있었다. 이 책은 라면이라는 한 먹거리를 통해 우리의 어렵던 근대를 돌아보고 있는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