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신여성은 구여성과 다른 삶을 살았을까? - 구효부 vs 신문물 역사공화국 한국사법정 55
손경희 지음, 조환철 그림 / 자음과모음 / 201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는 일종의 과도기이다. 전근대라는 과거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시기다.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이 공존하는 시기이며, 그 가운데 충돌이 있거나 새로운 부류가 등장하기도 하는 시기다. 예전에 근대를 다룬 다큐멘터리를 글로 풀어 쓴 책을 리뷰하면서 이런 내용을 적은 적이 있다.


 이 책의 내용도 큰 맥락에서는 그러한 근대물의 주제와 맛닿아 있다. 구여성이 전통을 상징한다면, 신여성은 새롭게 등장한 스타일이다. 이들은 근대에 있어 등장했던 수 많은 갈등 중 하나의 모습이었고, 오늘날의 여성상이 등장하는 밑거름이 되었다.

 개인적으로, 이들의 이야기를 구체적으로 느꼈던 계기는 이인직의 '혈의누' 시리즈였다. 문학전집에서 즐겨 읽었던 이야기 중 하나였던 '혈의 누'와 그 2부 '모란봉'의 여주인공은 어릴적 부모와 헤어졌다가 외국으로 유학가게 되고, 신여성다운 교육을 받는다. 그 곳에서 역시 유학생인 남자와 교감을 가지게 되는데, 그 남자는 조혼 풍습에 따라 이미 고향에 부인을 두고 있었다. 그러나, 그는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는 결혼보다 사랑을 택하고 싶어한다. 그리고, 그들이 귀국한 뒤 그들 주변 인물들을 통해 갈등은 구체화되면서 커져가는데...

 상당히 통속적인 이야기이지만, 꽤 재미있게 읽어서 기억에 남아 있는 근대 소설이다. 아쉽게도, 어떤 이유인지는 알 수 없으나 한창 갈등이 고조되던 중에 연재가 중단되어 미완으로 남아 있는 소설이기도 하다. 하지만, 완결 여부에 관계없이 신여성과 구여성의 갈등을 간접적으로 느끼기엔 좋은 교재였다.

 그 외에 가끔 배우는 당시 인물들의 삶을 보면, 본인의 의사와 관계없이 조혼하고, 새롭게 신여성을 만나 사랑하는 인물들이 적지 않다. 어렴풋이 기억을 뒤져보면, 그 유명한 시인 '백석'도 그러했던 것 같다. 그들 중 일부는 그렇게 하는 것이 새로운 문화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었던 것 같다. 마치, 중국 몰락의 원인을 유교로 꼽았던 근대의 중국 지식인들처럼, 그들에게는 구여성 자체가 조선을 몰락하게 한 구시대의 인습 중 하나로 생각했을 지도 모르겠다.

 어쨋거나, 구여성들은 대개 참 가련했다. 지금보다 더 열악했던 여성의 지위 때문에 그녀들은 남편에게 버림받고도 여전히 시집에서 노동력으로 종속당해 있었던 경우가 많다. 그녀들의 삶이 어떠했을까? 이 책에는 다소나마 그러한 삶의 애환이 나와있다. 그녀들의 한 서린 주장은 이유없는 것이 아니다.

 이 책의 판결은 직접 읽어보기 바란다. 하나 강조하고 싶은 것은 판결에 관계없이, 그들이 우리와 관계없는 과거가 아니라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는 점이다. 근대는 우리의 과거와 현대의 교차점이다. 현대의 씨앗인 셈이다. 그러므로, 그들을 통해 현대를 좀 더 잘 알고 나아갈 수 있지 않나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