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아프리카사 - 우리가 한 번도 만나보지 못한 아프리카의 진짜 역사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역사
김시혁 지음 / 다산에듀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외우지 않고 통으로 이해하는' 통유럽사의 저자가 쓴 책이다. 글쓴이는 책날개에서 천연자원의 보고이며 머지 않아 세계의 중심으로 부상할 지 모르는 아프리카에 대해 사람들이 잘 모르기 때문에 이 책을 쓰게 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이 책을 감수한 외대의 아프리카학부 김윤진교수는 이 책의 장점으로 '쉽고 재미있으면서' 서구의 시각도 승자의 논리도 아닌 '제3자의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서술하려고 노력한점을 꼽고 있다.


 내가 이 책을 읽은 이유는 아프리카에 대한 지식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서다. 특히,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에 대해서는 악숨왕국, 짐바으웨 유적 등의 단편적 이야기만 알고 있었지, 총체적인 틀은 갖추지 못했다. 그래서, 입문서격으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서문에서 저자는 아프리카사를 시작하며라는 글을 통하여 아프리카에 대한 개괄적 이해를 돕고 있다. 그리고, 아프리카의 밝혀진 다양한 문명들을 되도록 하나의 역사적 틀 아래 총체적으로 서술하려 시도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쿠시 왕국, 반투족, 에티오피아 왕국,  가나, 하우사 등 낯설은, 하지만 번영했었던 여러 문명들의 흥망성쇠를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유럽인들이 흑인들을 납치, 매수하기 시작하면서 벌어진 종족이동, 본격적인 식민주의의 시작과 이에 대항하며 등장하는 민족성 그리고, 세계대전전후의 독립과 독재, 그리고 내전으로 인한 가난 등이 펼쳐진다. 왜, 아프리카가 수많은 가능성이 있다고 찬양받으면서도, 현재는 그렇게 가난하고 고통속에 있는지를 이해하게끔 도와준다.


 이러한 구체적인 내용들을 알아가면서, 우리는 막연하게 현재의 아프리카만 놓고 막연하게 아프리카가 원래부터 무식하고 가난하며 게을렀기 때문에 그랬던 것이 아닐까 라는 인종주의적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리고, 앞으로 아프리카가 어떻게 변할지, 우리는 그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를 전망하는 틀을 가지게 된다.


 지식이 전부는 아니다. 그러나, 무지도 전부는 아니다. 오판의 위험성을 낮추려면 관련지식의 보충으로 대상을 가능한 구체화하는 것이 필수다. 객관적인 관점은 다양하고 충분한 지식과 체계의 위에서 자라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아프리카를 알아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