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의 뇌과학 - 이중언어자의 뇌로 보는 언어의 비밀 쓸모있는 뇌과학
알베르트 코스타 지음, 김유경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어의 뇌과학이라는 흥미로운 제목을 가진 이 책은 모국어가 아닌 제2외국어를 정복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한 카피를 가지고 있다.
"2가지 언어에 익숙한 뇌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우리 뇌를 바꾸는 놀라운 언어의 세계를 엿보다"
유창하게 몇개 국어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의 뇌는 어떤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일까 한번쯤 그 실체를 엿보고 싶은 사람들이라면 이 책을 읽어볼 것을 추천한다.

이 책은 크게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두 언어 환경에서 살아가는 아이들
제2장 이중언어자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제3장 이중언어를 하면 뇌가 어떻게 변할까
제4장 이중언어 사용은 노화를 늦추는가
제5장 이중언어자의 의사 결정

저자는 바르셀로나대학교에서 심리학 박사를 마쳤다. 그리고 하버드대학교와 MIT에서 연구원으로 일했기 때문에 그의 경험과 연구에서 탄생한 이 책이 스페인어와 영어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등장할 수 밖에 없음을 알고 가야한다. 이러한 부분은 이 책이 가지고 있는 유일한 단점으로 생각될 수 있다.
비교적 다양한 언어에 대해 동일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조금 더 신뢰성을 가지고 다양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논리가 되었을 텐데 아쉬움이 남는다.

첫번째 장에서 흥미롭게도 두 언어 환경에 노출된 아이들의 뇌에 대해 이야기 한다. 태어나서 말을 배우지 않은 상태의 아기들은 어떻게 두 언어를 구분해서 습득하게 되는지 흥미로운 주제에 대해 풀어나간다.
또한 두번째 장에서 이중언어자가 두 언어를 사용할 때 뇌의 작동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한 번도 깊게 생각해본적 없던 언어의 사용과 뇌의 상호작용에 대한 부분을 깊게 파고들며 흥미로운 사실들을 짚어준다.

또한 이중언어자는 단일언어자보다 공감 능력이 크다고 하는데 이 부분도 마찬가지로 이중언어를 사용하면서 뇌가 변화되는 과정에 연관이 있다고 설명한다.
중요한 의사결정에 앞서 외국어를 사용하게 된다면 감정으로 발생하는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이런 사실들 하나하나가 외국어를 모국어처럼 유창하게 사용하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흥미로운 주제들이 아닐 수 없다.

네번째 장에서 이중언어 사용이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룬다. 사람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인지력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중언어 사용은 인지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200페이지가 조금 넘는 이 책은 길지 않아서 빠르게 읽어나갈 수 있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이 책에는 우리가 자주 궁금해하는 "어떻게 하나의 뇌에 두 언어가 공존할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 들어 있다.
많은 시간이 투자된 저자의 연구를 통해 언어가 주의력, 학습, 감정, 의사 결정 등을 포함한 인지 영역들과 상호작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다.
이처럼 다양한 질문에 대해 함께 현상과 연구를 통해 답을 찾아가는 여정을 거치면 우리의 지적 호기심을 조금 더 채울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