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 - 농경의 시작부터 도르래 발명까지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
고윤곤 지음, 이정모 감수 / 밝은미래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밝은미래[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 2]



여자 아이라 다른 과목에 비해 과학을 항상 어렵게 느끼는 것을 보고, 과학을 좀 더 쉽고 재미나게 배울 수는 없을까 항상 생각했습니다.

그러다 만나게 된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 2>를 보고 아. 이 책이 우리 아이에게 큰 도움이 될 것 같아 선택한 책입니다.



여자 아이들은 과학이라 하면 선입견일지는 모르겠지만,

저 또한 과학을 그다지 좋아하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무슨 실험에, 화학 기호에, 단어도 어렵고, 그 뜻도 원리도 모르면서 무조건 외워야 하는 수업 방식이 더욱더 과학을 멀게 만들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 책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 2>는 할머니가 옛날 이야기를 해주듯이,

찬찬히 하나 하나 이야기를 풀었냅니다.

그러다 발견하게 된 사실

과학과 사회는 떼어 놓을 수 없다는 것과 과학과 역사 또한 뗴어 놓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그냥 암기만 하는 과학은 아이들에게 어렵고 지루하기만 하지만,

이 책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 2>를 읽으면

왜 발명을 하게 되었는지 이야기가 나옵니다.

그러면서

아이는 이야기에 빠져들고, 과학에 빠지게 됩니다.

자, 그럼

우리 아이가 빠진 이 책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 2>를 조금만 들여댜 보겠습니다.

일단 이 책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 2>는 학습만화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 딸처럼 과학을 조금 어려워하거나 힘들어하는 친구들에게는 쉽게 쉽게 만화로 이루여져서 한층 더 아이가 다가가기 싶게 되어 있습니다.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에서는

농경의 시작부터 도르래 발명까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나약한 인간이 동물들의 우위에 설수 있던 것은 직립 보행을 하면서 손을 자극하기 시작하면서 뇌가 개발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면서 도구를 발명하게 되고, 우연히 불을 발견해서 그 불로 동물들을 구워서 먹기 시작합니다.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문명이 시작이 됩니다.

우연히 발견한 식물로 농경 생활을 시작하게 되고,

토기의 발명에서 세라믹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만화로 보고 있으니 지루하지 않고 이해가 더 잘 되었습니다.

또 우연히 물에 뜬 통나무를 보고 뗏목을 만들고 배를 만들면서 인간의 활동영역이 커지게 되었습니다.

지레의 원리에서는 지레는 다 같은 것인줄 알았던 저도 1종 지레는 못뽑이, 손수레, 그리고 가위가 속하고 2종 지레는 병따개, 외바퀴 손수레, 작두가 속하며 3종 지레에는 젓가락, 집게, 낚시대가 속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지레가 힘을 받는 방향과 받침점에 따라 지레의 종류가 달라지는 것을 쉽게 설명하니 저 또한 새로운 것을 알게 되어 신기했습니다.

과학의 어려운 원리를 배경지식을 통해서 차근 차근 짚어주니,

과학을 좋아하지 않던 딸 아이가 지루해 하지 않으면서 쑥쑥 읽어가는 모습에 이 책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는 최고라고 부르고 싶습니다.





 





 



이어서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2>에서는,

숫자의 발명부터 활자 탄생까지를 다루고 있습니다.

처음 만난 것은 고대의 건축물이였습니다.

흙집에서 시작해서 철근 콘크리트 건축물로 발전하게 된 계기와 아치를 발명한 에트루리아인들 덕에 아치는 고대 문명의 수준을 보여 주는 하나의 기준이 되었습니다.

우연히 모래에서 발견한 유리가 지금의 강화유리로 발전이 되고,

서양 문자들의 뿌리가 라틴어라는 사실만 봐도 로마 제국의 규모를 느낄수 있는 부분이였습니다.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는 말이 정말 실감나기도 하였습니다.

모든 아이들이 공통으로 궁금해 하는 것 중 하나가,

아마도 시간과 날짜의 변화일 것입니다.

어쩌면 어려울 수 있는 지구의 자전과 달력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를 재미나게 풀어내서 이해하기가 쉬웠습니다.

아라비아 숫자와 0의 발견 그리고 달력과 시계등 과거에 발견해서 현재까지 너무나 잘 사용하고 있는 것들입니다.

처음에는 과학이라고 해서 꺼리던 딸 아이가

어느 순간 다 읽고 나더니 다음편을 꼭 사달라고 합니다.

이젠 과학이 너무나 재미있고, 과학이 없으면 우리 삶이 힘들거라고 이야기합니다.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한 것들이 어떤 물건이 되기까지 많은 시행착오가 있었겠지만,

그들이 포기하지 않고 발견하고 발명을 했기에 지금 우리는 그 모든 것들을 누리고 사는 것 같습니다.



 



초등 과학부터 중.고등 과학까지 재미와 개념, 모두 잡았다!고 하는데,

어른인 저도 재미와 개념을 모두 잡았습니다.

재치 넘치는 만화로 그려진 재밌는 과학!

과거부터 차근차근 풀어내는 친절한 과학!

원리를 그림과 비유로, 쏙쏙 이해되는 과학!

이 책 <읽기만 해도 똑똑해지는 만화 과학사 1, 2>을 과학을 어려워하거나, 과학을 재미있어하는 친구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습니다.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해당도서를 제공받아 저의 주관적 의견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