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컹덜컹 버스 처음 타던 날! - 교통 1970 생활문화
양혜원 지음, 김세진 그림 / 밝은미래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밝은 미래{덜컹 덜컹 버스 처음 타던 날]



아이에게 요즘엔 볼 수 없는 옛날의 모습을 알려 줄 수 있는 시리즈라 너무나 좋아합니다.

덜컹커리는 버스와 안내양의 목소리..

아이가 읽으면 너무나 신기해 하는 모습을 떠올리며 선택한 책 <덜컹 덜컹 버스 처음 타던 날>입니다.



 



지금은 버스를 타서 기계에 카드를 찍으면 버스 요금이 저절로 게산이 되는 편리한 시대입니다.

저도 직접 경험해 본 적이 없는 버스 안내양은 tv로나 볼 수 있는 신기한 광경입니다.

'오라이'

하면서 외치는 언니의 말 소리에 버스 기사님의 출발은 정말 신기하기만 합니다.

또한 사람들이 많이 타면 내려서 밀어 대는 언니의 힘은 어디서 그렇게 생기는 것인지...

딸 아이와 이 책 <덜컹 덜컹 버스 처음 타던 날>을 읽고 나니,

딸 아이 하는 말은

'버스 안내양은 우리 오빠들보다더 힘이 세야 되것다. 목소리도 커야 할 테고.

아무나 할 수 있는 일은 아니였던 것 같아.'

하면서

'나는 목소리도 엄청 크고, 남자 친구들보다 힘도 세니까 버스 안내양하면 딱 좋을 것 같은데..

지금 버스 안내양이 없어서 안타깝다..'

라고 합니다.

그래서 제가 '버스 안내양이 왜 하고 싶은데?'

하고 물으니

'버스를 타고 버스비도 안 내고, 가고 싶은 곳도 마음대로 갈 수 있잖아.'

라고 합니다.

저희 딸은 이 책 <덜컹 덜컹 버스처음 타던 날>의 주인공 봉구, 또숙, 용철이처럼 버스를 타면 자기가 원하는 곳 아무 곳이나 다 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또숙이는 왕사탕을 입에 물고 봉구와 용철이와 놀기 위해서 만납니다.

왕사탕이 먹고 싶었던 봉구와 용철이는 봉구 누나가 버스 안내양이라 버스를 마음대로 탈 수 있다고 얘기를 합니다.

버스를 타 본 적 없던 또숙이는 버스를 타고 싶어 왕사탕을 나눠주고 버스를 태워 달라고 합니다.

마침 온 버스가 봉구 누나가 있는 버스가 아니라서 아이들은 모르는 어른들 옆에서 무작정 올라탑니다.

그렇게 시작된 아이 셋의 버스 타고 떠나는 탐험의 시작은 과연 어떻게 될까요?

봉구는 과연 봉구 누나를 만날 수 있을까요?



 



이 책 <덜컹 덜컹 버스 처음 타던 날>은 밝은미래에서 {1970 생활문화} 시리즈로 급변하던 1960~1970년대를 어린이들이 쉽게 이해하기 위해 당시 생활의 모습을 그림과 이야기로 풀어 내고 있는 시리즈입니다.

또한 책의 한 구석에는 돌려보는 통통 뉴스로 우리나라 최초의 대중교통 전차의 이야기부터 버스가 처음 나온 시기와 버스 안내양의 고단한 삶까지 다채로운 정보를 담아 내어 아이들이 쉽게 받아들이는 정보책으로도 손색이 없을 듯 합니다.

우리 큰 아이처럼 버스와 교통수단을 좋아하고 관심있는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 <덜컹 덜컹 버스 처음 타던 날>입니다.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해당도서를 제공받아 저의 주관적 의견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