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수학 좀 좋아해 볼까?
베서니 바튼 지음, 이정희 옮김 / 토토북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도 수학 좀 좋아해 볼까?



어쩜 많은 아이들이 수학이 어렵다는 편견을 많이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저희 집에 아들 둘도 다른 아이들과 같이 수학이 어렵다고 힘들다고 매일 투덜거리는 아이들 중에 하나입니다.

그래서 막내딸은 오빠들과 달랐으면 하는 마음에서 선택하여 읽어보게 된 책 <나도 수학 좀 좋아해 볼까?>입니다.


 



 


우리 아들들처럼 수학을 좋아하지 않는 친구한테 아이들이 좋아하는 외계인 친구가 찾아옵니다.

외계인 친구에게 수학이 왜 싫은지 설명을 하면서 그것 또한 수학으로 설명하는 친구 참 아이러니합니다.

외계인 친구 또한 저하고 같은 생각을 합니다.

지구인도 아닌 외계인이 수학에 대해 뭘 아는지 묻는 친구에게 외계인은 지구의 과학자들이 지구에 생명체가 있다는 걸 우주에 알리려고 언어나 음악, 수학 같은 여러 정보를 기록 정보 장치에 담아 우주로 보냈다고 합니다.

외계인 친구 말에 외계인이 지구에 안 오는 이유를 알겠다고 얘기하는 친구는 수학 대신 쿠키를 보냈으면 외계인 친구들이 지구에 왔을 거라고 얘기를 합니다.

그러면서 외계인 친구에게 쿠키를 만들어 주려고 할머니의 레시피를 열었는데..

친구는 놀랄 수밖에 없었습니다.

과연 친구는 할머니의 레시피에서 무엇을 보고 놀랐을까요?

아마 많은 아이들에게 수학을 좋아하냐고 물으면 네 라고 대답하는 아이는 많지 않을 듯합니다.

당장 저희 집에 있는 아들 둘에게 수학 좋아해? 물으면 아니라고 대답 할 것이 뻔합니다.

그만큼 우리 집 아이를 포함해 많은 아이들은 수학이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수학을 처음 배운 게 교과서와 문제집에서 배우고 시험을 보기 위해 수학 공부를 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수학이라는 과목을 배우기 전에 우린 벌써 수학을 접하고 살았습니다.

저희 집에서만 보더라도 빵을 하나 사면 아이가 셋이니 빵을 세 개로 나눠서 하나씩 먹는데 여기서도 수학이 나옵니다.

이렇게 일상생활 에서도 볼 수 있는 수학을 외우는 게 아니라 우리가 좋아하는 피자에도, 우리 딸이 좋아하는 음악책에서도, 어디에서든 볼 수 있는 것입니다.

제 딸은 <나도 수학 좀 좋아해 볼까?>를 읽고 난후,

엄마 수학이 이렇게 많은 곳에 있는 줄 몰랐어 라고 합니다.

자기가 좋아하는 모든 곳에 숨어 있는 수학을 이제는 하나하나 찾아보겠다고 합니다.

이제는 수학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있으니 수학도 좋아한다고 얘기를 합니다.



우리 아이처럼 수학을 좋아하려고 노력하거나 수학이 어려워 싫어하는 친구가 있다면 꼭 추천해 주고 싶은 책 <나도 수학 좀 좋아해 볼까?>입니다.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해당도서를 제공받아 저의 주관적 의견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