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과 우주의 수사관 알버트 아인슈타인
태미라 지음, 이진우 그림 / 크레용하우스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빛과 우주의 수사관 알버트 아인슈타인

                                                                     
 

                                                            

과학을 배우지 않아 아직 과학을 궁금해 하는 막내딸에게 과학하면 떠오르는 아인슈타인 박사를 알려 주고 싶어 선택한 책<빛과 우주의 수사관 알버트 아인슈타인>입니다.

                                     
                                

                                     
                                

                                     
                                

                                     
                                

아인슈타인은 어릴 때부터 멍청이라는 별명으로 불릴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 참으로 특이했습니다.

동생이 태어나면 매일 데리고 놀 수 있다는 가족들 말에 동생 발에 바퀴가 달려 있지 않은 것을 알고 속상해했다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습니다.

아빠가 선물해 주신 나침반이 그의 인생과 인류과학에 어머어마한 영향을 주는 열쇠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호기심 많은 아인슈타인도 학교에서는 환영을 받지 못했습니다.

유대인이었던 아인슈타인은 카톨릭 학교에 입학했지만 친구들에게 심한 괴롭힘과 따돌림을 당하기도 하였습니다.

어떤 선생님은 “이 학생은 장차 커서 어떤 일을 해도 성공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됨”이라고 성적표에 쓰기도 하였습니다.

아인슈타인은 이렇게 힘든 어린 시절을 보냈지만 그의 호기심은 그 어떤 것으로도 막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의 호기심으로 인해서 탄생한 광전효과, 특수 상대성 이론은 정말 위대한 것입니다.

하지만 그의 연구로 원자폭탄이 만들어지고 그것으로 전쟁을 하는 것을 보았을 때는 많이 괴로워했다고 합니다.

                                     
                                

                                     
                                

                                     
                                

                                     
                                

이렇듯 호기심은 정말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는 아이가 어릴 때 호기심에 의해 이것저것 만질 때 ‘안돼, 위험해’하면서 많은 것을 저지했던 기억이 납니다.

만약 ‘안돼’ 하지말구 그냥 아이가 원하는 대로 아이의 호기심대로 자랐다면 저희 집 아이도 아인슈타인처럼 유명한 과학자가 될 수 있었을까 싶은 약간의 후회가 생기기도 합니다.

물론 아인슈타인처럼 호기심이 왕성하고 엉뚱한 아이가 있지도 않습니다.

저희 집 막내딸은 아이슈타인을 읽으면서 ‘내가 아인슈타인이었다면 학교 안 가서 좋았을 것 같아. 그리고 학교 선생님들이 성적표를 저렇게 써주면 난 정말 속상해서 울어버렸을 꺼야. 아인슈타인은 저 성적표 보고 울지는 않았을까?’라고 저에게 물어봅니다.

아직은 어려서 책을 읽으면서 어려운 단어가 나오면 무슨 말이야?라고 물어 보기도 합니다.

그래도 꼼꼼히 읽은 막내딸을 보면서 슬쩍 꿈이 뭐야? 아인슈타인처럼 과학자는 어때? 라고 물으니,

자기는 아인슈타인처럼 호기심도 없고 참을성이 없어서 어려운 과학자는 못하겠다고 합니다.

과학을 궁금해 했던 딸아이가 과학이 어렵지만은 않지만 호기심이 부족하다는 것을 스스로 알게 해 준 책 <빛과 우주의 수사관 알버트 아인슈타인>이였습니다.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해당도서를 제공받아 저의 주관적 의견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