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자를 품은 그림 상상도서관 (다림)
윤미경 지음, 김동성 그림 / 다림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자를 품은 그림


  

  주위의 시선에 맞서기 위해 애쓰는 희원이의 성장을 통해서 제 아이도 남의 시선에 의식하지 않고 살기 바라는 마음에 선택한 책 <글자를 품은 그림>입니다.


 

 원이는 청각 장애인이자 동화 그림 작가인 엄마와 단 둘이 살고 있습니다.

어느 날 부터인가 희원이네 담벼락에는 엄마에 대한 욕이 적히기 시작하고,

담벼락 주위에는 사람들이 가져다 놓은 쓰레기가 쌓이기 시작합니다.

희원이는 그런 모습을 보면서도 그 욕위에 아무렇지 않게 그림을 그리는 엄마에게 너무나 화가 납니다.

그런 희원이는 엄마 대신 맞서 싸우기 시작합니다.

고왔던 희원이 입에서 거친 말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희원이의 입은 어느 순간 똥입이 되어 있고,  세상에 불만이 쌓이기 시작합니다.

그렇게 항상 우울한 희원이에게 늘 밝게 웃어주고 다정하게 대해 주던 기찬이 오빠가 이사를 가게 되지만

사람의 겉과 속은 다를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일식이 있던 어느 날 희원이는 엄마가 그린 그림 속으로 빠져 들게 됩니다.

그림 속에서 빨간 원피스를 입은 일곱 살 소녀 초롱이를 만나게 됩니다.

엄마를 닮은 초롱이와 함께 소원꽃을 찾으러 다니면서 쥐도 만나고, 멧돼지도 만나고, 독거미도 만나고, 독뱀에게 물리면서 많은 위험을 헤쳐 나갑니다.

그러면서 자기가 얼마나 엄마를 사랑했는지, 엄마가 자기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또 자기가 한 거친 말이 남에게만 상처가 되는 것이 되돌아와서 자기 자신에게도 상처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희원이와 초롱이는 드디어 소원꽃을 찾아 소원을 빌게 됩니다.

과연 초롱이는 소원꽃에 어떤 소원을 빌었을까요?

 

 

 

 

 

 

  

 

 

 

 

 

​요즘은 예전만큼 장애인에 대한 나쁜 인식이 많이 사라졌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장애인에 대한 나쁜 인식을 가지고 공격하는 비장애인들로 인해 장애인들이 고통을 받고 있는 건 현실입니다.

말을 못한다는 것을 알고 때리고 뺐는 비장애인들로 같은 비장애인이 전 어떨때는 정말 부끄러운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우연히 방송을 보면서 저 또한 비장애인으로 장애인을 생각하지 못했다는 생각에 조금은 미안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저와 반대로 장애인을 위해서 장애인을 생각하면서 살고 계신 분들은 코로나 19로 인해 마스크를 꼭 착용해야 하는 시기에 꼭 필요한 마스크를 만들고 계셨습니다.

희원이 엄마처럼 청각 장애인은 사람들이 말하는 입 모양을 보고 대화를 하지만 마스크를 쓰면 보이지 않는 그 답답함을 이해하고

입이 보이는 마스크를 만든 것을 보고 잠시 나마 많은 것을 깨달은 시간이였습니다.

그 분들처럼 장애인을 위해 살고 있지는 않지만, 저희 아이들이 장애인을 만났을때 얼굴을 찌푸리는 것이 아닌 도움이 필요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아이들로 자라길 바랍니다.

또한 희원이처럼 거친 말을 했을때 남이 아닌 나에게도 상처가 되어 돌아온다는 것을 알고 거친 말이 아닌 고운 말을 쓰길

특히 저희 집 두 아들에게 바라는 엄마의 마음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