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략적 책읽기 - 지식을 경영하는
스티브 레빈 지음, 송승하 옮김 / 밀리언하우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책을 꾸준히 읽기는 하지만 읽어도 내용이 잘 기억이 나지 않거나, 나만의 매너리즘에 빠져 있게 될쯤 발견하여 순식간에 읽어 버린 책이다.
과연 독서는 왜 하는 것인가와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나만에 질문에 성실하게 답 해준 책이라고나 할까?
이책의 저자도 처음에는 보통 사람들과 같이 그리 많은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이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하지만 책 한권이 지은의 삶의 태도를 바꾸었고 그것으로 인해 책에 더욱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사실 우리는 모두 책 읽을 시간이 없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텔레비젼에서 항상 흘러나고 있는 자극적인 광고, 의미없이 흘러나오는 음악, 지하철에서 아무것도 하지 않고 보내는 출퇴근 시간, 또는 광고만을 보고 멍하니 있는 시간등을 활용하면 얼마든지 많은 양의 독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도 서문에서
"...내가 가장 놀란 건, 책을 많이 읽는 사람들은 전형적인 책벌레들이 아니라 하루하루를 대단히 열정적으로 사는 사람들이라는 점이다....중략...대다수는 일을 열심히 하면서도 책을 손에서 놓지 않고 있었다."
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사실 독서는 흥미수단으로만 하는 것은 아니다.
독서라는 지식 서핑은 우리의 사고의 폭을 넓여주며 변화를 가져다 주기 때문에 우리는 독서를 하여야 하는 것이다.
그럼 책의 선정과 독서는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지은이는 희망도서 작성과 읽은 책 리스트 작성, 메모하기 등을 통하여 좀더 효과적인 책 읽기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희망도서라는 것은 말 그대로 읽고 싶은 책을 이야기 한다.
저자는 되도록이면 많은 책을 구입해서 책장에 비축해 두라고 권고하고 있다. 그 책들은 언젠가 읽게 된다는 것이다. 또 책장을 희망도서란과 이미 읽은 책들을 구분할 수 있도록 구성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또 구입한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시간을 가지고 보도록 권하고 있는데 흥미가 없다면 다음기회에 읽도록 하고 있다. 그것은 몸에 맞지 않는 옷을 입는 것, 입에 맞지 않은 음식을 먹는 것과 같은 것이기 때문이다.
또 읽은 책 리스트라는 것은 과거에 어떤 책을 읽었는지 확인함으로써 다시 책을 사는(?) 과오를 저지르지 않을 수 있고 또 그 내용을 다시한번 기억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메모하는 것을 중요하게 보고 있다.
책은 저자가 썼지만 메모는 독자가 책의 내용을 가지고 자신의 내용으로 창조하는 것이다.
그 창조 과정이 없다면 책을 읽은 효과가 반감될 수 없는 것은 당연지사인 것이다.
그 외에도 저자는 독서클럽에 가입하는 것등 다양한 독서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책을 읽는 것은 내가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세계를 알수있게 해주기도 하지만 알지 못했던 나를 재발견하는 기회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많은 독서 기술을 알려주는 책들이 있지만
어쨌든 독자가 책을 읽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아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