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 순간, 이런 클래식 - 바이올리니스트의 인생 플레이리스트
김수연 지음 / 가디언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래식하면 연상되는 단어는 "격식", "엄숙", "장엄" 등 부정적이진 않지만

대중음악과 달리 접근하는데 긍정적인 말들은 아니다.

하지만 클래식 음악은 그림에 비해 쉽게 접할 수 있는 장르이다.

곡명은 모르더라도 영화, 드라마, 광고를 통해 자주 접하고 있기도 하고

백화점이나 카페 등에서 흔하게 들을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

덕분에 우리는 기분이 울적할 때 또는 어떤 비 오는 날 오후

카페에서 홀로 커피를 마시다가 울적한 또는 쓸쓸한 마음을

부드럽게 감싸주는 클래식을 만나기도 하고,

카페에서 책을 읽다가 책의 감동을 더해주는 클래식을 듣고

행복해지기도 한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다음에 그 음악을 다시 들으려 해도

클래식을 알지 못하는 우리는 듣지 못한다.

그래서 평소에 공부를 해야 하는데 클알못인 우리가

클래식을 공부한다는 것은 참으로 난해한 일이다.

어떤 책을 보아야 할지, 어떤 음악부터 아니면 작곡가부터

시작하야 할지, 누군가 전문가가 있어 안내해 주면 좋을 듯한데

그런 전문가는 주위에 없다.

물론 인터넷을 뒤지면 가이드가 나올 것이다.

한편으론 단지 음악을 듣는데 이렇게 공부까지 해가며

들어야 하는지 의문이 든다.

그렇지만 의문은 잠시 접어두고 이 책을 읽어보자.

이 책에는 한예종 출신의 바이올린 연주자인 저자가

"그런 순간"에 어울리는 "이런 클래식" 96곡을 선별하여

가벼운 곡 해설과 저자가 추천하는 연주를 들을 수 있는

유튜브 URL의 QR코드가 실려있다.

음악을 들으면서 이 책을 읽는다면 공부한다는 느낌 없이

클래식을 들으면서 음악에 대한 이해와 상식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책에서 재미있었던 음악을 한 곡 소개하면

비발디의 플루트 협주곡 '홍방울 새'(Antonio Vivaldi;

plute Concerto 'Il garellino" RV.428) 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b5dNg6Fh6fU&ab_channel=EmmanuelPahud-Topic


듣다 보면 사계의 선율과 비슷한 선율이 몇 번 나오는데 (전적으로 개인적인 생각이다)

사계 중 어디의 선율인가 찾아보는 소소한 재미가 있다.

<이북카페 서평 이벤트에 당첨되어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았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